#침구류 제조업체 A사는 오프라인 유통을 주력 사업으로 운영 중이다. 온라인 사업 비중은 5% 이하로 낮은 편이다. 문제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오프라인 매출이 곤두박질치면서 발생했다. A사는 해당 문제를 해결하면서 향후 언택트 시대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 관련 컨설팅을 받았으나 효과는 없었다. 이 과정에서 채용플랫폼 ‘탤런트뱅크’를 알게 됐고, 온라인 마케팅 전반에 대한 전략을 수립해 줄 임원급 전문가를 찾았다. 바로 3개월 간 월 400만원의 비용으로 온라인 마케팅 20년 경력의 전문가가 매칭됐고, A사는 언택트 시대 온라인 저변 확대를 위한 계획을 꾸릴 수 있게 됐다.
#케이블통신기업 B사는 1년 전 출시한 O2O 홈케어 신사업이 부진해 고민이 깊어졌다. 내부에 전략팀, 신사업팀이 모두 있지만 해결책을 찾지 못했다. 결국 O2O 홈케어 회사 임원 출신 전문가를 소개받아 6주간 주 2회 출근 형태로 계약을 진행했다. 전문가는 즉시 돌파구가 될 전략을 만들고 내부 관계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했다. B사 관계자는 “확실히 전문가는 CEO와 담당 부서에 던지는 질문이 내부에서 보던 시각과 달랐다”며 만족해했다.
긱경제를 모델로 한 국내 채용플랫폼은 휴넷의 ‘탤런트뱅크’다. 주요 대상은 ‘시니어 전문가’다. 전문가를 고액 연봉을 주고 힘들게 ‘모셔와야’ 하는 중소기업은 일정 기간 프로젝트 수행 시 탤런트뱅크가 유용하다. 시니어 전문가도 자신의 전공분야에서 원하는 시간만큼 일할 수 있는 일자리를 얻을 수 있다. 중소기업은 채용·비용 부담을 덜고, 시니어 전문가는 단기·고액 일자리다.
2년 전 출시된 탤런트뱅크는 현재 전문가–기업 간 프로젝트를 700건 매칭했다. 재의뢰율이 60%를 넘는다. 의뢰 기업들의 규모(매출액 기준)는 ‘10억 이상 ~ 100억 미만’이 37%로 가장 많고, ‘10억 미만’이 31%로 뒤를 이었다. 중소 규모의 기업 활용도가 68%로 높다. 기업들이 가장 많이 의뢰한 분야는 ▲마케팅(23%) ▲경영전략/신사업(19%) ▲영업/구매/유통(17%) ▲IT(13%) ▲엔지니어링(10%) ▲재무/투자(7%) ▲인사/총무(6%) 순이었다.
탤런트뱅크는 2200여 명의 고스펙 시니어 전문가 풀을 확보했다. 이들은 모두 중소기업 임원 또는 대기업 팀장 이상, 해당 분야 15년 이상의 전문 경력자들이다. 평균 나이는 53.8세다. 이들의 직업은 프리랜서(47%)가 가장 많다. 주목할 점은 재직자가 37%에 달하고, 나머지 16%는 사업자다. 사실상 전문가 절반은 ‘N잡러’인 셈이다.
코로나19 이후 탤런트뱅크의 프로젝트 의뢰 건수는 급증했다. 코로나19가 본격화된 3월 이후 의뢰 건수는 월평균 100건으로 지난해 말과 비교해 43% 증가했다. 휴넷 관계자는 “신사업과 온라인 마케팅 분야 의뢰가 늘었다”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는 기업들이 발 빠르게 움직이면서 전문가를 많이 섭외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