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20일 국내 대기업 4곳 중 3곳은 코로나19에 대응해 유연근무제를 새로 도입하거나 확대했다고 밝혔다. 이는 한경연이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 근로형태 및 노동환경 전망'을 조사한 결과다.
응답기업 중 29.2%는 유연근무제를 새로 도입했고 45.8%는 기존 제도를 보완·확대했으며 10.0%는 도입을 검토 중이다. 도입계획이 없다는 기업은 15.0%였다.
코로나19 이후 유연근무제를 도입·확대한 기업 중 56.7%는 생산성 향상에 긍정적이라는 평가를 내놨다. 유연근무제를 운영하는 기업의 51%는 코로나19 이후에도 계속하거나 확대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기업들은 코로나가 노동시장에 몰고 온 변화로 비대면·유연근무제 등 근로형태 다변화(39.1%)와 산업구조 디지털화에 따른 일자리 감소(25.1%), 평가·보상체계 개선(13.4%)을 들었다.
평가·보상체계에서 중요한 척도로는 개인·집단별 성과와 업적(35.2%), 담당업무 중요도와 책임정도(29.6%), 직무능력 향상(27.7%), 근속연수, 연령 등 연공서열(4.4%) 등이 꼽혔다.
한경연은 "호봉제보다는 성과급제가 확산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코로나19로 인해 국내 노동시장에서는 근로형태, 평가·보상체계 등 다양한 측면에서 변화가 예상된다"면서 "노사는 협력적 관계를 구축·강화하고, 국회와 정부는 탄력근로제 단위기간과 재량근로제 대상업무 확대 등 관련 법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한경연이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서 6월 8일∼7월 6일에 했으며 120개사가 응답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7.80%포인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