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방인어] 400년 만에 부활한 '예송논쟁'

2020-07-14 18:03
  • 글자크기 설정

[사진=아주경제 DB]


1659년 효종의 승하 이후 서인과 남인은 왕의 어머니인 조대비의 복상(服喪) 기간을 놓고 격렬한 당쟁을 벌였다. 1674년 효종 비(妃)가 죽자, 조대비 복상 기간이 또 도마 위에 올랐다. 이것이 제1∼2차 예송논쟁이다. 왜 작은 문제로 죽기 살기로 싸웠을까. 복상 기간은 왕의 권위를 의미했기 때문이다.

2020년 대한민국. 상(喪)을 '5일장으로 하느냐 3일장으로 하느냐'로 다투고, 장지를 '서울로 하느냐 대전으로 하느냐'로 언성을 높인다. 왜 이렇게 다투는가. 조문 기간과 장지는 망자(亡者)와 진영의 권위를 세워주는 것으로 여기기 때문이다.
코로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글로벌 위기의 그림자가 바싹 다가왔다. 예송논쟁 기간에 조선대기근으로 90만~150만명이 굶어 죽었던 일을 잊었는가.

나쁜 역사를 되풀이하는 앙시앵레짐(구체제)과 결별해야 한다. 민주화와 산업화의 지혜를 통해 새 판을 짜야 한다. 정신을 안 차리면 역사의 웃음거리가 된다. <최신형 정치팀장>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