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최근 발표한 '디지털 미디어 생태계 발전 방안'에 업계가 고개를 갸우뚱하고 있다. 실효성에 대한 의문은 물론이고, 너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에 치중됐다는 이유에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OTT를 포함한 최소 5개 이상의 플랫폼(지상파도 가능)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 제도 정비를 통해 유료방송 업체 간 인수·합병(M&A) 속도를 높이고, 2022년까지 국내 미디어 시장 규모를 10조원까지 확대한다. 콘텐츠수출액도 134억2000만달러 달성을 목표로 잡았다.
이에 레거시 미디어(전통 매체)에 너무 소홀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대표적으로 지상파 방송사를 위한 지원책을 살펴보면, 고품질 방송 콘텐츠 발굴, 콘텐츠 제작 유통을 위한 인공지능(AI) 데이터 자동 화질 개선, 방송 콘텐츠 아카이브 등에 국한된다. 이마저도 지상파의 요청으로 담기게 됐다.
이태희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세계적으로 열풍인 OTT 위주의 지원책을 마련한 것이 사실"이라며 "다만 기존 미디어인 인터넷TV(IPTV), 케이블TV, 지상파 등도 규제를 완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KBS, MBC 두 공영방송사는 낡은 규제 속에서 '불공정 경쟁'으로 인한 위기 상황이라며, 합당한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물론 공적책무를 다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MBC는 공영방송 재원 현실화와 함께 해외 OTT 사업자와의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들은 국내에서 고용을 창출하거나 세금을 내는 등의 사회적 책무를 다하지 않는데 콘텐츠 형식, 광고 등에 어떤 제약도 받지 않는 실상을 비판한 것이다. KBS도 수신료 현실화로 대표되는 공적 재원 문제가 해소돼야 한다는 의견이다.
한 방송사 관계자는 "이동통신사도 하나의 콘텐츠 플랫폼이 되는 마당에, 지상파 등 방송사에 대한 현실적인 방안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