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보도에 따르면 중국 상하이시는 노점상 지원 정책의 일환으로 지난 주말 새로운 야시장을 열었다. 시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야시장은 성공적으로 마무리됐고, 상인들의 만족도도 높았다.
그런데 하루만에 이 상인들은 모두 야시장에서의 ‘짐’을 빼야할 처지가 됐다. 노점상 경제를 활성화하자던 당국이 갑작스레 노선을 틀면서다.
이에 따라 중국에서 노점상 열풍이 급속도로 확산됐다. 도시 곳곳의 인도에 노점상이 줄을 이었고, 관련 기업 주가도 연일 고공행진했다. 상하이시가 이번 야시장을 개최한 것도 리 총리의 노점상 경제 지원의 일환이었다.
그런데 갑자기 분위기가 바뀌었다. 지난 6일 관영 베이징일보는 베이징시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노점상경제는 베이징에 부적합하다”며 “맹목적으로 따라선 안된다고 보도했다. 시 정부는 즉각 노점과 도로 점거 영업 등 위법 행위에 대한 단속에 나섰다.
중국중앙(CC)TV도 다음날 논평을 통해 “노점상경제는 만병통치약이 아니다”라며 노점상 경제를 비판했다.
일부 지방 당국은 곤경에 빠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중국 농민공(이주 노동자)의 심각한 실업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꼽히던 노점상 경제 관련 정책을 하루 아침에 철폐해야 하기 때문이다. 중국의 농민공은 약 3억명으로 알려져 있다. 일각에선 코로나19 사태 이후 농민공을 포함한 중국의 실직 실업률은 7000만명이 실직한 20.5%란 해석도 나왔다.
베이징 중앙재경대의 왕징이 교수는 “노점상 경제를 활성화시킨다고 했던 당국이 단 몇일 만에 갑작스레 노점상 단속에 나섰다”며 “지방 정부들은 노점상 운영자를 위한 지속가능한 정책과, 도시 환경을 위한 일관성 있는 정책의 균형을 유지해야하는 난관에 직면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