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는 8일 발간한 ‘KDI 경제동향 3월호’를 통해 “코로나19 영향이 본격화한 2월에 수출이 중국을 중심으로 부진했다. 내수도 경제심리 악화로 위축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1월 전산업생산은 0.5% 감소(이하 전년동월대비) 했다. 조업일수가 3일 감소한 것을 고려하면 지난해 12월(3.9% 증가)과 유사한 흐름이다.
현재의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월 100.5로 전월보다 0.3포인트 상승했다. 앞으로의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1월 100.3으로 0.1포인트 올랐다.
코로나19가 본격화한 2월 한국은행 제조업 계절조정 기업경기실사지수(BSI)가 전월 78에서 67로 떨어졌다. 전산업의 BSI도 75에서 65로 폭락했다.
2월 초 중국산 부품 수급 차질로 국내 완성차 5개사의 가동률이 하락했고 제주도 관광객은 내국인(-39.3%)과 외국인(-77.2%) 모두 감소했다.
2월 소비자심리지수는 전월 104.2에서 96.9로 하락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소비활동이 위축된 것이다.
기업투자심리도 악화했다. KDI의 2월 투자 BSI는 전월 95.5에서 89.5로, 제조업은 96.5에서 87.7로 떨어졌다. 비제조업은 94.1에서 91.8로 하락했다.
수출도 마찬가지다. 2월 수출은 조업일수 확대로 4.5% 증가했지만 하루 평균 수출액은 전월 5.9% 증가에서 12.2% 감소로 돌아섰다.
대(對)중국 수출은 조업일수 확대에도 -6.6%를 기록했고 자동차 수출(-16.6%)은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KDI는 노동시장도 코로나19로 악화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감염병이 길어지면 서비스업과 일용직의 취업자 수 증가 폭이 축소될 수 있다고 봤다.
금융시장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경기 하방 압력이 높아지면서 주가, 원화 가치, 금리가 모두 하락했다. 반면 불확실성 지수는 상승했다.
2월 국제유가는 상승세로 반등했었지만 코로나19 확산으로 원유 수요 전망치가 하향 조정되면서 하락으로 돌아섰다.
김성태 KDI 경제전망실장은 “구체적인 경기 위축 여파는 통계청의 2월 산업활동동향에서 나타날 것”이라며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으로 코로나19의 진행에 따라 상황이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