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이 새해 수익성과 서비스 강화로 위기 상황을 정면돌파한다.
대한항공은 일본 여행 보이콧의 장기화와 항공업계 지형변화 등으로 인해 최근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하지만 우기홍 대한항공 대표이사 사장을 중심으로 초심으로 돌아가 정상화를 꾀한다는 방침이다.
◆힘 실린 우 사장, 대한항공 변화의 중심으로
우 사장은 지난 12일 서울 여의도 전국경제인연합회 콘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추궈홍 주한중국대사 초청 간담회’가 끝난 후 “(새해) 돈 버는 사업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는 새해 계획에 대한 질문의 답이다. 우 사장은 한진그룹의 주력 계열사인 대한항공의 정상화라는 중책을 맡은 인물이다. 이를 위해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은 최근 인사에서 이른바 회사의 중심이었던 ‘S대 4인방’ 가운데 유일하게 우 사장을 승진 인사(부사장→사장)한 바 있다.
우 사장의 경험이 대한항공의 체질 개선에 필수적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1962년생인 우 사장은 1987년 대한항공 기획관리실로 입사, 비서실, 그룹 구조조정본부 등을 거치며 고(故) 조양호 전 회장에 이어 그의 아들인 조 회장에게도 깊은 신임을 받고 있다.
우 사장은 그러나 이날 “(구체적인 방안은) 대외적으로 얘기를 할 수 없다”며 전략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다만 그룹의 수장인 조 회장의 발언과 대한항공의 최근 행보를 통해 ‘조직과 노선의 효율화’, ‘사업 구조개선’ 등을 통해 변신을 꾀할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줄 일 수 있는 부분은 줄이고, 잘하는 부분에 투자를 더욱 강화할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실제 조 회장은 지난달 1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가진 특파원단과 간담회에서 이익이 나지 않는 사업에 대한 구조조정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가 지난 4월 회장으로 선임된 후, 일관적으로 추진했던 효율화의 연장선이다.
조 회장의 취임 이후 대한항공은 △국내선 화물서비스 일부 중단 △일본 노선 축소 및 동남아· 중국 노선 확대 △단기 희망 휴직제와 희망퇴직 실시 등을 잇달아 결정했다.
더불어 수익성 강화를 위해 공동운항도 확대했다. 지난 9월부터 로열 브루나이항공과 공동운항하는 '인천∼브루나이' 노선이 대표적인 예다. 공동운항은 상대 항공사의 좌석을 자사 항공편명으로 판매하는 제휴 방식이다. 대한항공으로서는 직접 취항하지 않으면서도 실질적인 노선 확대 효과를 얻게 된 셈이다.
이밖에도 꾸준히 확대하고 있는 델타항공과 조인트벤처 사업과 신규 시장 개발 등을 통한 수익성 강화도 기대된다. 화물 수송 분야에서 의약품이나 생동물 등 고단가 화물 유치를 늘릴 것으로 예상된다.
◆모바일서비스 강화 통해 소비자 편의 확대·업무 효율화 ‘두 마리 토끼 잡는다’
특히 모바일서비스 강화 등을 통해 소비자 편의 확대와 업무 효율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데도 힘을 실을 것으로 관측된다.
우 사장은 “트렌드가 바뀌고 있으니 모바일 서비스 질을 향상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며 “우리만이 아니라 전 기업들이 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대한항공은 2008년 국내 최초로 웹(web) 기반 체크인 서비스를 도입한 이후 모바일 등으로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셀프 체크인 비율은 2016년 9.2%에서 2017년 14.5%, 지난해 14.6%, 올해(7월까지) 19.4%로 증가했다.
새해 카카오와 협력이 본격화되면 이 같은 이용객 증가는 더욱 가팔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대한항공은 지난 5일 우 사장과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고객 가치 혁신과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당시 우 사장은 “카카오와의 제휴를 기반으로 카카오의 우수한 플랫폼과 콘텐츠를 대한항공의 고객 서비스, 항공권 판매, 핀테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예정”이라며 “항공사와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의 사업 협력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도 창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대한항공의 지난 3분기 영업이익은 1179억원에 불과하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 대비 70% 넘게 줄어든 수치다. 매출도 같은 기간 3.7% 줄어든 3조2830억원을 기록했다.
대한항공은 일본 여행 보이콧의 장기화와 항공업계 지형변화 등으로 인해 최근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하지만 우기홍 대한항공 대표이사 사장을 중심으로 초심으로 돌아가 정상화를 꾀한다는 방침이다.
◆힘 실린 우 사장, 대한항공 변화의 중심으로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는 새해 계획에 대한 질문의 답이다. 우 사장은 한진그룹의 주력 계열사인 대한항공의 정상화라는 중책을 맡은 인물이다. 이를 위해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은 최근 인사에서 이른바 회사의 중심이었던 ‘S대 4인방’ 가운데 유일하게 우 사장을 승진 인사(부사장→사장)한 바 있다.
우 사장의 경험이 대한항공의 체질 개선에 필수적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1962년생인 우 사장은 1987년 대한항공 기획관리실로 입사, 비서실, 그룹 구조조정본부 등을 거치며 고(故) 조양호 전 회장에 이어 그의 아들인 조 회장에게도 깊은 신임을 받고 있다.
우 사장은 그러나 이날 “(구체적인 방안은) 대외적으로 얘기를 할 수 없다”며 전략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다만 그룹의 수장인 조 회장의 발언과 대한항공의 최근 행보를 통해 ‘조직과 노선의 효율화’, ‘사업 구조개선’ 등을 통해 변신을 꾀할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줄 일 수 있는 부분은 줄이고, 잘하는 부분에 투자를 더욱 강화할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실제 조 회장은 지난달 1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가진 특파원단과 간담회에서 이익이 나지 않는 사업에 대한 구조조정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가 지난 4월 회장으로 선임된 후, 일관적으로 추진했던 효율화의 연장선이다.
조 회장의 취임 이후 대한항공은 △국내선 화물서비스 일부 중단 △일본 노선 축소 및 동남아· 중국 노선 확대 △단기 희망 휴직제와 희망퇴직 실시 등을 잇달아 결정했다.
더불어 수익성 강화를 위해 공동운항도 확대했다. 지난 9월부터 로열 브루나이항공과 공동운항하는 '인천∼브루나이' 노선이 대표적인 예다. 공동운항은 상대 항공사의 좌석을 자사 항공편명으로 판매하는 제휴 방식이다. 대한항공으로서는 직접 취항하지 않으면서도 실질적인 노선 확대 효과를 얻게 된 셈이다.
이밖에도 꾸준히 확대하고 있는 델타항공과 조인트벤처 사업과 신규 시장 개발 등을 통한 수익성 강화도 기대된다. 화물 수송 분야에서 의약품이나 생동물 등 고단가 화물 유치를 늘릴 것으로 예상된다.
◆모바일서비스 강화 통해 소비자 편의 확대·업무 효율화 ‘두 마리 토끼 잡는다’
특히 모바일서비스 강화 등을 통해 소비자 편의 확대와 업무 효율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데도 힘을 실을 것으로 관측된다.
우 사장은 “트렌드가 바뀌고 있으니 모바일 서비스 질을 향상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며 “우리만이 아니라 전 기업들이 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대한항공은 2008년 국내 최초로 웹(web) 기반 체크인 서비스를 도입한 이후 모바일 등으로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셀프 체크인 비율은 2016년 9.2%에서 2017년 14.5%, 지난해 14.6%, 올해(7월까지) 19.4%로 증가했다.
새해 카카오와 협력이 본격화되면 이 같은 이용객 증가는 더욱 가팔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대한항공은 지난 5일 우 사장과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고객 가치 혁신과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당시 우 사장은 “카카오와의 제휴를 기반으로 카카오의 우수한 플랫폼과 콘텐츠를 대한항공의 고객 서비스, 항공권 판매, 핀테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예정”이라며 “항공사와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의 사업 협력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도 창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대한항공의 지난 3분기 영업이익은 1179억원에 불과하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 대비 70% 넘게 줄어든 수치다. 매출도 같은 기간 3.7% 줄어든 3조2830억원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