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그룹 2대 회장으로 1970년부터 1995년까지 25년간 그룹을 이끌었던 구자경 LG 명예회장이 14일 오전 10시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4세.
그는 LG를 세계적인 기업으로 도약시킨 기초를 마련한 인물로 평가 받는다.
1970년 회장으로 취임할 당시 그룹은 럭키와 금성사, 호남정유 등 8개사에 연간 매출이 270억원이었다. 고인이 경영에서 물러날 당시 LG는 30여개 계열사에 매출액 38조원의 재계 3위 그룹으로 성장했다. 종업원도 25년간 2만명에서 10만명으로 증가했다.
1925년생인 구 명예회장은 LG 창업주인 고(故) 구인회 회장의 장남으로 45세 때인 1970년부터 LG그룹 2대 회장을 지냈다.
진주사범을 졸업한 고인은 부산 사범학교 교사로 재직 중이던 1950년 부친의 부름을 받아 그룹의 모회사인 락희화학공업사(현 LG화학) 이사로 취임하면서 그룹 경영에 참여했다.
고인은 주로 생산현장에서 직원들과 함께 어울렸다. 럭키크림 생산을 직접 담당하면서 손수 가마솥에 원료를 붓고 불을 지펴 크림을 만들고, 박스에 일일이 제품을 넣어 포장해 판매현장에 들고갔다.
이후 럭희화학은 머리빗·비누통·세숫대야 등을 생산하는 플라스틱 공장을 설립해 락희화학공업사로 발전했다. 구자경 회장은 플라스틱 가공제품의 최초 생산 현장은 물론 우리나라 최초의 전자제품생산업체인 금성사의 라디오 생산 과정도 직접 챙겼다.
1962년 락희화학 전무를 거쳐 1968년 금성사 부사장에 올랐다. 1969년 구인회 창업회장의 별세에 따라 고인은 1970년 LG그룹 회장을 맡아 25년간 그룹 총수를 지냈다. 취임 이후 한국경제의 고도성장기 때 범한해상화재보험과 국제증권, 부산투자금융, 한국중공업 군포공장, 한국광업제련 등을 인수했고 럭키석유화학(1978년), 금성반도체(1979년), 금성일렉트론(1989년) 등을 설립하는 등 외형을 불렸다. 1987∼1989년 사이에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도 역임했다.
고인은 그룹을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시키고자 연구개발을 통한 신기술 확보에 주력해 회장 재임 기간에 설립한 국내외 연구소만 70여개에 이른다. 해외 진출에도 적극적으로 나서 중국과 동남아시아, 동유럽, 미주 지역에 LG전자와 LG화학의 해외공장 건설을 추진해 그룹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검정 뿔테안경에 경상도 사투리가 트레이드 마크인 고인은 안정과 내실을 중시하는 경영스타일로 유명했다. 고인이 이끌던 LG는 '보수적인 기업'의 대명사로 불렸고, 대기업의 부침이 심했던 전두환·노태우 정권 때도 특혜나 이권과 관련해 잡음을 일으킨 사례가 거의 없는 편으로 전해진다.
고인은 70세이던 1995년 '21세기를 위해서는 젊고 도전적인 인재들이 그룹을 이끌어나가야 한다'며 장남 구본무 회장에게 그룹을 넘겨줬다.
고인은 경영일선에서 물러난 뒤에는 교육 활동과 공익재단을 통한 사회공헌활동에 관여해 왔다. 또 충남 천안에 있는 천안연암대학 인근 농장에 머물면서 된장과 청국장, 만두 등 전통음식의 맛을 재현하는 데 힘을 쏟았다.
고인은 슬하에 지난해 타계한 구본무 LG 회장과 구본능 희성그룹 회장, 구본준 LG 부회장, 구본식 희성그룹 부회장 등 6남매를 뒀다. 부인 하정임 여사는 2008년 1월 별세했다.
그는 LG를 세계적인 기업으로 도약시킨 기초를 마련한 인물로 평가 받는다.
1970년 회장으로 취임할 당시 그룹은 럭키와 금성사, 호남정유 등 8개사에 연간 매출이 270억원이었다. 고인이 경영에서 물러날 당시 LG는 30여개 계열사에 매출액 38조원의 재계 3위 그룹으로 성장했다. 종업원도 25년간 2만명에서 10만명으로 증가했다.
1925년생인 구 명예회장은 LG 창업주인 고(故) 구인회 회장의 장남으로 45세 때인 1970년부터 LG그룹 2대 회장을 지냈다.
고인은 주로 생산현장에서 직원들과 함께 어울렸다. 럭키크림 생산을 직접 담당하면서 손수 가마솥에 원료를 붓고 불을 지펴 크림을 만들고, 박스에 일일이 제품을 넣어 포장해 판매현장에 들고갔다.
이후 럭희화학은 머리빗·비누통·세숫대야 등을 생산하는 플라스틱 공장을 설립해 락희화학공업사로 발전했다. 구자경 회장은 플라스틱 가공제품의 최초 생산 현장은 물론 우리나라 최초의 전자제품생산업체인 금성사의 라디오 생산 과정도 직접 챙겼다.
1962년 락희화학 전무를 거쳐 1968년 금성사 부사장에 올랐다. 1969년 구인회 창업회장의 별세에 따라 고인은 1970년 LG그룹 회장을 맡아 25년간 그룹 총수를 지냈다. 취임 이후 한국경제의 고도성장기 때 범한해상화재보험과 국제증권, 부산투자금융, 한국중공업 군포공장, 한국광업제련 등을 인수했고 럭키석유화학(1978년), 금성반도체(1979년), 금성일렉트론(1989년) 등을 설립하는 등 외형을 불렸다. 1987∼1989년 사이에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도 역임했다.
고인은 그룹을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시키고자 연구개발을 통한 신기술 확보에 주력해 회장 재임 기간에 설립한 국내외 연구소만 70여개에 이른다. 해외 진출에도 적극적으로 나서 중국과 동남아시아, 동유럽, 미주 지역에 LG전자와 LG화학의 해외공장 건설을 추진해 그룹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검정 뿔테안경에 경상도 사투리가 트레이드 마크인 고인은 안정과 내실을 중시하는 경영스타일로 유명했다. 고인이 이끌던 LG는 '보수적인 기업'의 대명사로 불렸고, 대기업의 부침이 심했던 전두환·노태우 정권 때도 특혜나 이권과 관련해 잡음을 일으킨 사례가 거의 없는 편으로 전해진다.
고인은 70세이던 1995년 '21세기를 위해서는 젊고 도전적인 인재들이 그룹을 이끌어나가야 한다'며 장남 구본무 회장에게 그룹을 넘겨줬다.
고인은 경영일선에서 물러난 뒤에는 교육 활동과 공익재단을 통한 사회공헌활동에 관여해 왔다. 또 충남 천안에 있는 천안연암대학 인근 농장에 머물면서 된장과 청국장, 만두 등 전통음식의 맛을 재현하는 데 힘을 쏟았다.
고인은 슬하에 지난해 타계한 구본무 LG 회장과 구본능 희성그룹 회장, 구본준 LG 부회장, 구본식 희성그룹 부회장 등 6남매를 뒀다. 부인 하정임 여사는 2008년 1월 별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