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이 바이오헬스 산업에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선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업계 및 전문가들이 입을 모았다.
중소벤처기업부는 13일 오후 서울 서초구 양재 엘타워에서 ‘제2회 중소벤처기업 미래포럼’을 개최했다.
이어 “데이터를 융합해서 산업의 가치를 찾아내는 것이 AI의 역할이다. AI는 미래 모든 기술들이 사용하는 지금의 전기 같은 역할(기초에너지, 동력원)을 할 것”이라며 “지난 5월 정부에서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을 발표했다. 앞으로는 더 나아가 AI와 관련해 바이오업체들과 교류의 장을 (정부가) 많이 열어줬으면 좋겠다”고 했다.
이날 토론자로 참여한 김현준 뷰노 최고전략책임자(CSO)는 “AI 의료기기 허가 가이드라인이 나오기 전엔 AI 의료기기는 불법이나 다름없었는데, 이제는 허가를 받는 환경이 됐다”며 “의료산업이 규제산업인 만큼, 의료기기, 신약 등 개발을 하면서 어떤 기업이 시간을 잘 이겨내고 견뎌내느냐가 관건이다. 5년 10년을 보며 기업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윤섭 디지털헬스케어연구소장은 바이오헬스 산업에 대한 합의체계의 부재를 지적했다. 그는 “디지털헬스케어 분야가 성장하기 위해선 중기부뿐 아니라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여러 기관의 협력이 있어야 한다. 또한 의료 분야의 특수성을 이해할 수 있는 거버넌스(민관협력)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병원과 기업이 협업하는 과정에서 정부 지원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영학 서울아산병원 헬스이노베이션빅데이터센터장은 “실제 제품이 개발돼도 임상적 근거가 있어야 시장에 진입할 수 있다. 하지만 복지부 지원이 있지만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라고 꼬집었다.
또 그는 “클라우드 활용성은 높아지고 있지만 의료 소프트웨어 스타트업들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 등을 약속했다. 박 장관은 “제조 데이터센터를 내년에 만든다. 스타트업에겐 데이터 바우처 형태로 지원해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다만 무조건 적인 정부 지원에 대해선 선을 그었다. 그는 “정부가 어디까지 지원해야 할지 늘 고민이다”면서도 “정부가 개입하기보다는 대기업의 자본과 스타트업의 기술을 적절히 활용하는 방향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포럼에는 박 장관을 비롯해 서정선 바이오협회장, 갈원일 제약바이오협회 부회장 등 바이오 분야 협‧단체장, 유관기관장, 바이오 분야 전문가 및 기업인 등 150여명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