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아직 자동차 시장은 내연기관차 중심이다. 앞으로도 상당 기간 주도권을 쥐고 움직일 것이다. 하지만 다양한 친환경 차가 경쟁력을 갖게 되면서 점유율을 늘릴 것은 확실하다. 그 속도도 더 빨라질 것이다. 지구 온난화 등 국제적 환경 기준이 강화되는 것도 이 속도를 더 빠르게 할 것으로 예상한다.
최근 전기차는 배터리 개선과 충전 인프라 등 소비자가 불편하게 느끼는 단점이 많이 사라졌다. 그만큼 경쟁력이 올라갔다. 보조금이라는 인큐베이터 요소가 남아 있으나 이 부분도 머지않은 시간에 경쟁력이 올라가 자연스럽게 해소될 것이다. 민간 비즈니스 모델이 본격적으로 나타나면서 전기차 시장이 더욱 활기를 띨 것은 자명하다.
전기차는 내연기관차 대비 부품이 약 50%로 단순하다. 풍부한 전기에너지를 바탕으로 미래의 먹거리인 자율주행차 개발에 가장 가까워 중요한 징검다리 역할도 한다. 그래서 우리의 먹거리 중 전기차가 더욱 중요하다. 최근의 흐름을 이른바 '전기차 빅뱅'이라고 하는 이유다.
우선, 아파트 같은 집단 거주지가 도심지의 경우 약 70%에 이를 정도로 집중해 있어서 공용 주차장을 활용한 심야용 완속 충전기 설치장소 확보가 어렵다. 이 부분은 약 5년 전부터 국내에서 모바일 충전기를 이용한 해결 방안이 나오면서 해결점을 찾아가고 있다. 다양한 모바일 충전기를 통해 하루속히 불편함이 사라져야 하는 이유라 할 수 있다.
둘째로, 소비자가 쉽게 전기차를 활용할 충전 인프라 종합 컨트롤센터의 확보다. 전기차 운전자가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것이 바로 충전 시설이다. 아직 국내에선 민·관용 등 다양한 충전기 설치 주체와 관리 주체가 통일돼 있지 않아 소비자가 하나하나 확인해야 하는 상황이다.
정부는 이제라도 모든 민·관용 충전 시설을 통합해 관리하고 이를 토대로 운전자에게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종합 컨트롤센터를 만들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운전자는 전기차 앞에 탑재된 전기차용 전용 내비게이션을 통해 한눈에 자신의 충전 인프라를 색깔별로 확인하고 쉽게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셋째로, 충전기 관리 예산의 별도 확보다. 현재는 정신없이 충전기 설치를 늘려가고 있으나 이에 못지않게 충전 시설의 지속적인 관리가 더욱 중요하다. 국내에는 아직도 충전기 수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고장난 충전기가 전국적으로 10% 정도에 이른다. 당연히 개선해야 할 요소이다. 민·관 구분 없이 고장난 충전기를 고치면 확인해 지원하는 제도 정립이 필요하다.
넷째로, 충전기 관리의 업그레이드다. 현실적으로 맞지 않는 제도와 법적인 부분을 하루속히 수정해야 한다. 전 국민의 30%가 사는 연립주택이나 빌라는 공용 주차장 수가 적고, 공공용 충전기 설치 기준에 맞지 않아서 아예 제외돼 있다.
충전기 설치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여기에 전기차 충전주차장 도색을 자갈밭에도 해야 하는 등 현실과 맞지 않는 규정도 많다.
최근 우리나라는 전기차 등 친환경 차 보급 활성화에 힘입어 선진국을 빠르게 추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 한국형 모델 정립이 중요하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확실하게 챙기면서 속도를 내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각종 문제점을 하나하나 개선해 전기차가 우리의 미래 먹거리로 확실히 자리매김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