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 원유 수입해 최대 원유수출국 지위 유지"

2019-09-20 20:48
  • 글자크기 설정

WSJ "아람코, 이라크에 2000만 배럴 수입 요청"

정제시설 피폭에 수출원유 등급도 하향 조정

사우디아라비아가 주요 석유시설 피격으로 산유량에 타격을 입고 있는 가운데 세계 최대 원유수출국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역으로 석유 수입에 나설 판이라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사우디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는 기존 주문받은 원유를 차질없이 공급하기 위해 국내에서 사용할 석유를 수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세계 최대 원유수출국 지위를 놓치지 않기 위해 사우디 내에서 생산한 원유는 국내에서 사용할 양까지 모두 수출하고 국내용 석유는 수입해 충당하는 것이다.

 

사우디아라비아 국영석유사 아람코의 석유시설 [사진=AP·연합뉴스]


WSJ는 소식통을 인용해 아람코는 원유 2000만 배럴을 사우디 국내 정유업체들에 공급해달라고 이라크 국영석유판매사(SOMO)에 요청했다고 전했다.

또 사우디는 글로벌 시장에서 정제된 석유제품을 구매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이탈리아 정유업체 사라스SpA의 다리오 스캐파르디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6일 아람코가 석유제품 구매를 문의하기 시작했다"며 "아마도 원유 수출을 최대로 끌어올리려는 목적일 것 같다"고 말했다.

사우디 수출의 상당 부분은 비정제 원유가 차지한다. 비정제 원유는 정제를 거쳐 전력생산과 운송수단 연료 등에 쓰이는 디젤, 가솔린, 연료유 등 석유제품으로 가공된다.

트레이더들은 단기적으로 아람코가 별도의 정제 과정을 거치지 않고 국내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석유제품을 국제시장에서 구매했다고 설명했다.

컨설팅업체 팩츠글로벌에너지의 중동 부문 상무이사 이만 나세리는 아브카이크 정유 시설 피격으로 사우디 정유업체들이 정제하는 원유량이 하루 평균 최대 140만 배럴 줄어든 것으로 추산했다.

사우디는 수출 공급량을 맞추기 위해 공급하는 석유의 품질 조정에도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아람코는 기존에 주문받은 프리미엄 등급의 아랍 경질유를 보낼 수 없어 상대적으로 등급이 낮은 아랍 중질유로 대체하겠다고 인도 정유사들에 통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유 자료제공업체 케이플러(Kpler)의 원유 애널리스트 사마 아흐마드는 아람코가 이번 주 사우디 동부에 위치한 라스 타누라 터미널에서 중국행 화물을 포함한 아랍 저유황 경질유 화물 5개를 고유황 중질유로 대체했다고 전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에 따르면 지난해 사우디는 일평균 1030만 배럴의 원유를 생산해 740만 배럴을 수출했다. 정제 석유제품도 하루 평균 200만 배럴 수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