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통관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특성상 원료의 대부분을 일본산 석탄재에 의존해온 국내 시멘트 업계와 일본 수출 업체에 미치는 영향이 불가피하게 됐다.
환경부에 따르면 이날 강원도 동해시 동해항에서 일본산 석탄재 약 4000t을 대상으로 방사능과 중금속 오염 여부를 전수조사했다.
조사 방식은 항구에 정박한 석탄재 운반선에 올라 방사능을 측정하고 시료를 채취했다.
아울러 납(150mg/kg), 구리(800mg/kg), 카드뮴(50mg/kg) 등 5개 중금속의 함량 기준도 준수해야 한다.
석탄재를 수입하려는 사업자는 공인기관의 방사능 검사 성적서와 중금속 성분 분석서를 정부에 제출해야 한다. 아울러 통관 때마다 사업자가 방사선 간이측정 결과를 내야 한다.
환경부는 그동안 분기별 1회 성적서와 분석서의 진위를 점검해 왔지만 앞으로는 통관되는 모든 건에 대해 조사해 문제가 발견될 경우 상응한 조치를 하기로 했다.
통관 때마다 방사선량을 간이측정하거나 시료를 채취해 전문 검사기관에 검사를 의뢰하고, 중금속 성분은 직접 검사할 예정이다.
석탄재는 국내 시멘트 공장에서 시멘트 연료로 활용된다. 2009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약 10년간 수입된 석탄재 폐기물 총 1182만7000t 중 일본산이 1182만6000t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시멘트 업계와 전문가 사이에서는 일본산 석탄재 수입을 급속히 줄이면 시멘트 생산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환경부는 "시멘트업계 등과 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하겠다"며 "국내에서 매립돼 재활용되지 않는 석탄재를 활용하는 방안, 석탄재 대체재 발굴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기존에는 석탄재 등의 방사능 확인 작업에 20∼30일 걸렸다"며 "시멘트사 경영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앞으로는 오히려 이보다 더 빨리 검사를 마칠 계획"이라고 말했다.
다만 종전에는 분기에 1번씩 성적서 등의 진위를 점검했다면 이번에는 정부의 검사 횟수가 대폭 늘어나는 등 통관이 오래 걸릴 수밖에 없어 업계가 연료 확보에 여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환경부는 시멘트 외에도 일본에서 수입하는 폐배터리, 폐타이어, 폐플라스틱의 방사능·중금속 검사도 강화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