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믹스와 환율효과로 실적이 개선됐지만 수익성 제고를 위한 출발점인 자산효율성이 여전히 낮다는 지적이 나온다. 구조조정 필요성이 강조되는 대목이다. 단순 매출 부진 지역에 국한된 것이 아닌 현대차의 근본적 문제 개선을 위한 노력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지난 22일 현대자동차는 올해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9.1% 증가한 26조9664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30.2%, 23.3% 늘어난 1조2377억원, 9993억원이다.
같은 기간 판매대수는 119만2000대에서 110만5000대로 줄었다. 글로벌 자동차 수요가 감소하는 가운데 특히 중국시장이 부진했다. 차종별 판매 비중을 보면 펠리세이드 등 SUV(34.6%→40.1%)와 제네시스(1.5%→2.4%)를 제외하고 전부 축소됐다.
판매대수 감소에도 실적이 개선된 배경은 판매단가(ASP) 증가와 환율효과(원화 약세)다. 매출원가율도 축소(84.1%→82.9%)됐다. 다만 환율 영향을 제외하면 ASP대비 원가율 하락은 크지 않다. 전장 등 관련 재료비가 늘어난 영향으로 추정된다.
◆자산효율성, 2000년 이후 줄곧 하락세
증권업계에 따르면 올해 현대차 실적 예상 컨센서스는 매출액 103조1460억원이다. 영업이익은 4조1475억원으로 전망된다. 영업이익률은 4%를 넘어설 것으로 관측되지만 지난 2017년 수준(4.7%)에 미치지 못한다. 단지 지난해 영업이익률이 2.5%에 불과해 기저효과는 지속될 것으로 관측된다.
현대차의 향후 전망을 낙관만 할 수 없는 이유는 자산효율성에 있다. 현대차의 총자산회전율(매출액/총자산)은 지난해 말 기준 0.54배다. 올해 예상 컨센서스 기준으로도 0.56배에 불과하다. 지난 2000년 1배를 기록한 이후 줄곧 하락세다.
영업이익률은 지난 2011년 10.3%에서 지난해 2.5%로 낮아졌다. 경기둔화에 따른 글로벌 수요 감소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낮은 자산활용도가 이익개선에 발목을 잡고 있다.
영업이익률과 총자산회전율만으로 수익성과 효율성을 진단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발생주의 회계 때문이다. 판매과정에서 수요자와 공급자간 실제로 돈이 오고 가지 않아도 수익으로 계상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현대차의 매출채권회전율(매출액/매출채권)은 2008년 금융위기 발발 전 10배 초반에서 최근에는 20배 중반으로 크게 올랐다. 매출채권회전율이 상승하면 긍정적, 반대는 부정적으로 평가한다. 현대차는 지표 특성상 자금회수가능성은 높아졌다는 뜻이다.
그러나 영업활동현금흐름은 들쭉날쭉이다. 총자산 대비 영업활동현금흐름은 지난 10년 평균 4.8%에서 최근 3년 평균 1.6%로 축소됐다. 영업이익이 감소한 탓도 있지만 영업활동현금흐름에 운전자본 변동이 영향을 미치는 점을 감안하면 이 역시 적절한 재원 배분이 되지 않고 있다는 의미다.
영업이익률, 총자산회전율, 총자산 영업활동현금흐름 회전율 등의 비율분석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항상성’이다. 경제와 산업은 늘 가변적이기 때문에 수입과 지출 규모에 상관없이 그 비율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해야 기업 전략의 원활한 수행이 가능하다.
◆호실적에도 떠나는 외국인
대폭 개선된 실적에도 불구하고 외국인투자자들은 현대차 주식을 매도했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SUV를 중심으로 한 제품믹스와 환율 효과 덕을 봤지만 이러한 상황이 지속될지 장담하기 어렵다”며 “향후 지속 투자계획을 갖고 있는 만큼 현금흐름이 불안정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파업 관련 이슈도 있어 불확실성은 당분간 피해가자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현대차의 신용등급 전망이 ‘부정적’으로 변경된 데 이어 신평사들은 실제 강등 가능성도 높게 보고 있다. 그 내용을 종합해보면 내부요인으로는 친환경차 생산·연구개발 관련 비용, 노후모델 재고 소진 관련 인센티브, 신차 광고·홍보 비용 등이 부담이다.
상품 경쟁력은 영업이익률 증가로 이어진다. 경쟁력은 자산효율성으로부터 출발한다. 현대차는 자금조달과 재원배분 전략부터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자산운용사 운용역은 “대외 여건 등을 무시할 수 없지만 유수 글로벌 기업의 공통점은 철저한 시장 조사·공략과 자산효율성이 뒷받침하고 있다”며 “현대차 자체적으로도 이런 점을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그는 “하반기 미국시장 등에서의 신차 효과 기대보다는 외국인투자 이탈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파악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