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일본 자금 30조원, 반도체 이어 금융 쓰나미 오나?

2019-07-09 17:59
  • 글자크기 설정

[그래픽=김효곤 기자]


일본의 다음 경제 보복조치로 '금융 자금'이 거론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국내에 있는 일본자금이 단번에 빠져나가면 그야말로 국내 금융권이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 경고하고 있다.

정지원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9일 한국거래소 2019 하반기 주요사업 기자간담회에서 “우리 증시에서 일본계 자금은 13조 정도로 비중이 높지 않다”고 말했다. 보복 이슈 장기로 인해 증시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에 대해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확인하겠다”고 밝혔다.

주식형 자금 13조원에 금융 자산은 18조원으로 총 31조원 이상의 일본 자금이 국내에 들어와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미쓰비시파이낸셜그룹, 미쓰이스미토모, 미즈호, 야마구치 등 일본계 은행의 국내 총 대출액은 올해 3월 기준 약 18조2995억원이다. 주식·채권 시장에 유인된 일본 자금은 약 12조원으로 확인됐다.

앞서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지난 5일 “일본이 추가적으로 어떤 조치를 할지 모르기 때문에 우리 정부도 모든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면서도 “그럴 가능성이 얼마나 될지 모르겠지만 그런 일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대처에 큰 어려움이 없을 것”라고 말한 바 있다.

이미 일본계 자금은 올해들어 반년 만에 3조원 가까이 빠져나간 상태다. 지난해 9월 말 일본 4개 은행의 국내 대출 규모는 21조817억원으로 지금보다 3조원이 많았다.

조동근 명지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30조는 만만치 않은 규모”라며 “금융에도 쓰나미가 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일본이 가진 국내 자금 30조는 썰물이다”며 “백사장에 덩그러니 나룻배만 남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금융권에서는 일본 자금이 단기적으로 빠져나갈 가능성은 낮게 내다봤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금융 규제로 안갈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에 어떤 상황에 대해 대비는 없지만, 내부 회의는 진행 중”이라며 “추이를 지켜보며 모니터링을 철저히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일본은 지난 4일 한국에 대해 한 번만 포괄적 허가를 받으면 3년간 개별 품목 허가 과정이 필요 없는 수출 포괄허가 혜택을 철회했다. 해당 품목에는 반도체 핵심 소재인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포토리지스트, 애칭가스 등 3개가 포함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