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량 급감으로 ‘금값’을 주고도 구하기 어려운 새조개를 쉽게 만날 수 있는 길이 열릴 전망이다.
충남도 수산자원연구소(소장 임민호)는 새조개를 안정적이고 대량으로 인공부화 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새조개는 그러나 2003년 1156톤으로 정점을 기록한 이후 내리막길을 거듭, 2012년 이후에는 통계청 공식 통계에 잡히지 않을 정도로 생산량이 급감했다.
홍성군이 어장관리실태조사를 통해 비공식 집계한 군내 생산량은 100톤 안팎에 불과하다.
도 수산자원연구소는 남획으로 인한 어미 자원 붕괴, 기후변화에 따른 수온 상등 등을 생산량 급감 원인으로 보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 따라 도 수산자원연구소는 2016년 도내 새조개 모패를 활용한 인공부화 기술 개발에 착수, 4년 만에 결실을 맺었다.
도 수산자원연구소는 연구 첫 해 새조개 인공 산란 기술을 우선 확보했다.
2017년에는 인공 성 성숙 유도 기술을 개발하고, 새조개 부유 유생 관리 기술을 확립했으며, 먹이생물 배양관리 시스템도 구축했다.
지난해에는 생식소 발달에 필요한 모패 최저 비만도를 확인하고, 종자 생산 시험연구를 통해 2㎜ 크기의 새조개 치패를 사육·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했다.
특히 올해에는 대량 인공 산란 유도를 통해 어린 새조개 생산에 처음으로 성공했다.
도 수산자원연구소는 앞으로 천수만 새조개 자원 회복, 치패 생산 기술 고도화 및 완전양식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자원 회복 연구는 올해 생산한 0.5∼1㎝ 크기의 새조개 치패를 최근 홍성 죽도 인근 바다에 살포하며 본격 시작했다.
도 수산자원연구소는 이 새조개가 천수만 생태계 변화에 어느 정도 적응할 수 있는지 환경 내성 시험연구를 추진한다.
새조개 치패 생산 기술 고도화 및 완전양식 연구는 지난 4월 문을 연 친환경양식특화연구센터를 활용해 진행한다.
새조개 먹이생물인 미세조류 대량 배양, 치패 중간양성 연구 및 고밀도 사육 관리 기술 개발 등을 추진, 궁극적으로 저수조 등 육상 양식장에서의 완전양식 기술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임민호 소장은 “전국적으로 일부 연구소나 민간 업체에서 새조개 치패를 생산 중이나 아직 기술이 완벽하지 못한 상황”이라며 “이번 치패 대량 생산 기술 개발은 새조개 자원 회복 길을 찾고, 완전양식 가능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