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한 요양보호사 이야기가 아니다. 로봇 이야기다. 먼 미래 이야기도 아니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일상에서 관리와 지원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직접 도움을 줄 수 있는 로봇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실제로 일본 도요타는 지난 2015년 고령자와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를 위해 바닥에 떨어진 물건을 집는 기능을 특화한 로봇을 공개했다. 지난해부터는 병원에 실전 투입해 지원업무를 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자폐 아동을 위한 소셜로봇 'Blossom'을 개발했다. 이 로봇은 자폐 아동이 사회적 행위와 공감에 대해 더 많이 배울 수 있도록 함께 동영상을 시청하며 아이와 상호작용을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돌봄로봇 확산은 필연적이다. 한국은 지난해 고령사회에 진입했고 2026년에는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20%가 넘는 초고령 사회에 들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층 신체 활동과 일상을 도와줄 간호·간병 전문인력 수요가 늘고 있지만 높은 업무 강도로 구인난을 겪으면서 이를 대체할 돌봄로봇 도입이 시급하다.
이에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와 보건복지부가 돌봄로봇 보급을 활성화하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산업부와 복지부는 17일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에서 '돌봄로봇 네트워크 포럼'을 열고 이런 내용을 포함한 돌봄로봇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산업부는 포럼에서 지난 3월 발표한 '로봇산업 발전방안'을 소개하며 돌봄로봇 기술개발, 돌봄로봇 5000대 보급 등 돌봄로봇이 현장에 빠르게 확산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을 강조했다.
특히 수요자 초기 부담 비용을 덜기 위한 렌털·리스 등 금융서비스를 도입한다는 계획도 처음으로 밝혔다. 1억원 가까이 되는 고가 돌봄로봇을 개인이나 요양원에서 초기 비용 부담 없이 들여올 수 있도록 렌탈·리스사를 통해 분할 납부하겠다는 것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돌봄로봇 중에 이승보조 로봇 등 비싼 제품의 경우 병원이나 개인 등이 사용하고 싶어도 비용 문제로 구입하기가 쉽지 않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렌털·리스 등을 도입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렌트 기간, 사용자 책임 등 렌트 서비스를 설계해줘야 하기 때문에 제품이 상용화되는 상황을 봐서 캐피털 사와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포럼을 통해 산업부와 복지부는 돌봄로봇 사용자 의견을 기술 개발과 제도개선에 반영할 수 있도록 '돌봄로봇 네트워크 포럼 소그룹 모임'을 운영해 양 부처와 연구자, 수요자 간 소통을 활성화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