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안전'을 국민의 보편적인 권리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지금도 국가는 국민의 안전을 보장해야 한다는 당위적 의무를 지고 있다는 데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없다. 그러나 '안전'을 국민의 권리로 이해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안전'을 개인의 권리로 받아들인다는 것은 국가가 국민 개개인의 안전을 책임지겠다는 해석으로 이어진다. 지금은 이와 관련해서 다양한 목소리가 있다.
개인의 안전과 관련해 국가가 개입해야 하는 범위, 국가가 부담해야 하는 의무의 수준 그리고 자유권 등 다른 기본권과 안전권과의 충돌에 대한 우려 등이 그것이다. 결론을 내리기 쉽지 않은 이 의제들이 앞으로 사회적 공감과 합의를 거쳐 궁극적으로 하나의 법규로 명문화되고 현 정부가 추구하는 '국가책임체제'의 주요 부분으로 기능하도록 노력할 것이다.
둘째, 시설물의 안전정보를 모든 국민에게 공개할 것이다. 건물 안전점검 이력사항과 지적사항은 어떻게 개선됐는지 등의 정보를 국민에게 알림으로써 국민들이 안전의 관점에서 시설을 선택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고자 한다. 올해를 시작으로 안전점검 결과를 공개하기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안전정보 통합공개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 시스템 구축이 완료되면 약 600만개의 시설물 등에 대한 점검이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그 결과를 국민에게 공개할 수 있다.
넷째, 국민이 다양한 안전교육을 통해 안전지식을 배우고, 몸으로 익혀 실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단순한 지식 전달형 국민 안전교육이 아니라 몸이 기억하는 체험형으로 전환해야 한다.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완강기·소화기 이용법, 심폐소생술 등의 체험형 안전교육을 확산하여 일상생활 중에 급작스럽게 닥치는 위험한 상황에서 제대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또한 안전을 중시하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안전 관련 시민단체·공공기관·기업 등 안전 가치를 추구하는 협업기관의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안전의식 개선활동에 집중할 계획이다. 특히 다양한 사회 구성원의 참여를 통해 불법 주·정차 근절운동, 안전점검표를 활용한 자율 안전점검 실천운동도 펼쳐나갈 것이다. 지금까지 고민한 정책과제를 놓고 앞으로 많은 이해관계자들과 숙의과정을 거쳐 정책을 펼칠 것이다.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정부!" 링컨 대통령이 말한 것처럼 재난안전정책의 중심에는 항상 국민이 최우선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