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기업들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인재상으로 '위기 대처 능력'이 뛰어난 사람을 꼽았다.
한국고용정보원이 24일 공개한 '미래 직업 기초 능력 조사결과'에 따르면 10년 뒤 가장 중요한 직업능력 1위로 위기 대처 능력이 꼽혔다.
이 조사는 미래 트렌드 조사업체 '퀀텀런'이 선정한 '2030년까지 생존 가능한 50대 글로벌 기업'의 인재상을 분석해 직업 기초 능력 15개를 선정하고 4차 산업혁명 전문가 250여명이 중요성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번 조사에서는 5년 전 중요했던 직업능력 순위도 함께 평가했다.
그 결과 5년 전 중요했던 직업능력 1위는 '열정'이었고 위기 대처 능력은 2위였다. 이어 '회복 탄력성', '대응력', '자기 혁신' 순이었다.
'다재다능'은 5년 전 중요했던 직업능력으로는 8위였으나 10년 뒤 중요한 직업능력에서는 15위로 내려갔다.
박가열 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과거 추격형 개발 사회에서는 선진국이나 선도 기업의 모범과 경영진의 지시를 성실히 수행하기 위한 열정이나 책임감이 우선적으로 요구됐다"며 "기술이 혁신적으로 발전하고 다양한 변수의 상호 작용으로 예측 불가능하며 연결성이 더욱 촘촘해지는 미래 사회에서는 변화에 민첩하게 적응하기 위한 위기 대처 능력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혁신적으로 변화하는 미래 사회에 청년층이 적극적으로 대응하도록 하려면 단편적인 지식 전달 위주의 암기 교육은 지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