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정상회담으로 남·북 경제협력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가운데, 에너지 분야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남·북 경협이 진행될 경우 에너지 분야가 기본 인프라가 되기 때문이다.
특히 전력난이 심각한 북한 사정을 고려하면 사회간접자본(SOC) 등의 협력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 우리나라의 실질적인 에너지 지원이 우선돼야 한다.
13일 통계청에 따르면 2016년 남한의 발전설비 총 용량(모든 발전소를 1시간 동안 완전히 가동할 때의 전력 생산능력의 합)은 10만5866㎿로, 7661㎿에 그친 북한의 14배 수준이다. 또 2016년 남한의 연간 발전량은 5만4040GWh로 북한(2390GWh)의 23배에 달했다.
북한은 연료 부족과 설비 노후화, 고장 등으로 인해 발전설비를 제대로 가동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개성공단을 재개하려고 해도 전력이 필요하고, 남북간 철도를 연결하려고 해도 전력 없이는 할 수 없다. 전력 인프라가 갖춰지는 것이 실질적 남북 경협의 첫 단추가 되는 이유다.
특히 북한은 발전소도 부족하지만, 송·배전망 등 전력 계통도 열악하다. 발전소를 지어도 전력을 전달하기 쉽지 않다는 의미다.
발전업계 관계자는 "북한에서는 소량 발전과 송·배전 시스템의 노후화 탓에 생산된 전력이 소비자까지 전달되는 동안 손실돼 전력난이 가중된다"며 "북한의 송·배전 시스템 등을 고려하면 대형 발전소를 건설하기보다, 소형 발전소를 분산화해 전력을 보내는 과정을 최대한 줄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미 일부 에너지 공기업은 전담 조직을 구성, 남북 경협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
한국동서발전은 북한에 단기적으로 태양광과 풍력 발전소를, 장기적으로 화력발전소를 건설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자체계획으로 해주·원산·김책 등 3곳을 석탄화력발전소 후보지로 특정했다. 동서발전은 북한의 오래된 화력발전소 보수 및 성능개선 사업도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수력원자력 역시 남북 경협에 대비한 대북사업준비팀을 만들었다. 이 팀은 경협을 추진할 여건이 형성될 때를 대비, 노후수력 현대화 등 수력발전 협력사업을 준비할 계획이다.
광물자원 분야의 경협도 기대된다. 수십조원의 손실로 논란을 빚은 해외자원개발사업 대신 가까운 북한에서 다양한 광물을 조달할 경우, 양국 모두에게 이득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북한에는 석회석·마그네사이트·철광석·무연탄·금 등 42개 광종이 매장돼 있다. 광물공사가 2016년 추산한 이들 광물의 잠재가치는 3000조원에 달한다.
한국은 세계 5~6위권 광물 소비국이지만, 수요 광물의 92.5%를 수입에 의존한다. 반면 북한은 한국이 필요로 하는 광물종을 풍부하게 보유하고 있다.
광물공사는 북한이 기술·자본·인프라 부족, 전력공급 등의 문제로 광산을 생산능력 대비 20∼30% 수준밖에 운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여기에 남한의 기술과 자본을 투입하면 생산량 증가는 물론 광물 가공을 통해 고부가가치화가 가능하다.
광물공사는 통일 후 10년간 주요 광물 수입을 북한산으로 대체할 경우, 45조원의 수입대체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광물공사 역시 자원 분야 남북 경협에 발 빠르게 대비하고 있다. 이달부터 ▲정촌사업정상화분과 ▲한반도신경제지도분과 ▲민간지원분과 등으로 구성된 '남북자원개발사업단'을 운영 중이다.
광물공사 관계자는 "고가 장비 등을 구매하지 못해 광산 기술이 우리나라보다 10년 정도 뒤처졌지만, 장비나 인프라를 제대로 갖추면 금방 따라올 수 있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