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음식점 및 주점업 상용근로자는 전년동기대비 1598명(0.2%) 감소했다.
음식점 및 주점업에서 상용근로자가 전년동기대비로 감소한 것은 2010년 4분기(-363명) 이후 7년3개월 만이다.
상용근로자는 고용계약 기간이 1년 이상 또는 기간이 정해지지 않은 정규직이다.
반면, 이 업종의 임시일용 근로자는 지난해와 비교해 3394명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1분기 이후 4분기 만이다.
임시일용 근로자는 고용계약 기간이 1년 미만이라 상용직보다 고용상태가 불안정하다.
음식점 및 주점업뿐 아니라 숙박업에서도 상용근로자가 5분기 연속 줄었다.
사업지원서비스업 역시 올해 1분기 상용근로자가 1만1595명 줄어 2013년 2분기(-1722명) 이후 19분기(4년9개월) 만에 감소했다.
사업지원서비스업 임시일용 근로자는 2016년 1분기부터 지난해 4분기까지 8분기 연속 줄어드는 추세였지만, 올해 1분기 3078명 늘었다.
사업지원서비스업은 경비‧경호, 보안시스템, 고용알선업 등이 포함된다. 아파트 경비나 청소인력 공급업체도 이 부문에 속한다.
서비스업종에서 상용근로자가 줄고 임시일용 근로자가 늘어나는 모습에 대해 정부는 외국인 관광객 위축과 일부 업종의 정규직 전환 영향이라고 추정했다.
정부 관계자는 “음식점 및 주점업은 외국인 여행객 감소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고, 사업지원서비스업은 파견 직원이 해당 업종 정규직으로 채용되면서 전직하는 사례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최저임금이 인상되면서 기업이나 자영업자가 상용근로자를 임시직으로 대체한 영향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