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같은 위기지만 어느 나라는 오랜 세월 고통을 겪는 반면 단기간에 극복하는 국가도 있다. 차이는 금융과 경제 정책에 있다. 상황에 맞는 정책은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준다. 우리나라의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사태 극복이 대표적인 사례다.
경제위기는 반복된다. 때문에 금융시장의 불안요인만 제대로 파악해도 일정 부분 대비가 가능하다. 현재 우리 금융시장엔 불안 요소들이 산적해 있다. 당장 이달 중 한·미 금리가 역전돼 미국 금리가 우리보다 높아지면 한국에 대한 투자 매력이 낮아진다. 장기적으로 해외자본이 우리나라에서 빠져나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언제 터질지 모르는 뇌관으로 여겨지는 가계부채도 눈여겨봐야 한다. 지난해 정부의 규제로 인해 증가세가 한 자릿수로 떨어지긴 했지만 여전히 소득 증가율보다 가계부채 증가율이 앞서고 있다. 특히, 금리인상기에 가계 빚은 우리 경제를 억누르는 요인이 될 가능성이 크다.
철강·조선 등은 구조조정의 직격탄을 맞았다. 기간산업의 붕괴는 지역경제를 넘어 전체 산업과 경제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크다.
대외 상황도 녹록하지 않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자국 기업을 보호하기 위해 전 세계에 대한 통상압박을 하고 있다. 중국으로의 수출도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성장동력이 약화되며 질적 성장으로 전략을 선회한 탓이다. 이는 기업의 수익 악화를 넘어 수출 감소로 이어져 우리 경제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