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김여정 특사'에 대한 화답으로 대북특사 파견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재인 대통령은 북·미 대화 등 정상회담 선결과제를 포함해 남북관계 전반에 대한 구체적이고 허심탄회한 논의를 위해 대북특사를 추진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과거 대북특사 파견 사례를 보면 2002년과 2003년 임동원 당시 외교안보통일특보가, 2005년 정동영 당시 통일부 장관이 대통령 특사로 파견된 기록이 있다.
임 실장은 문 대통령을 최근접 보좌하면서 누구보다 대통령의 의중을 잘 파악하고 있어 남북 채널의 실질적인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 임 실장은 지난 11일 북한 고위급 대표단 환송 만찬을 주재해 눈길을 끌었다. 이를 두고 임 실장을 중심으로 한 남북 간 고위급 소통 채널이 구축되는 것 아니냐는 시각이 대두됐다.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특사 자격으로 방남했던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과 임 실장이 핫라인을 형성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아울러 이 환송 만찬 자리에는 한때 김 위원장의 비서실장 역할을 했던 김창선 서기실장이 동석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임 실장은 국회의원 시절 통일외교통상위원회에서만 6년을 활동하며 외교와 통일 분야에서 높은 전문성을 갖췄다는 평가다. 2004년에는 북측 기업과 상품소개 등 무역상담 지원, 남북 간 통신 대행 등을 통해 장기적인 남북 교류협력 사업을 추진하고자 학계·경제계·문화계 인사 100여명이 발기인으로 참여한 '남북경제문화협력재단'의 부회장으로도 선출된 바 있다.
지난해 5월 문 대통령이 취임할 때 그를 비서실장에 임명하자, 주변에서는 임 실장이 2007년 '개성공단 지원법' 제정에 앞장서는 등 남북관계에 많은 경험과 철학을 갖고 있어 남북관계 개선과 관련한 문 대통령의 의지를 뒷받침할 적임자라는 평가가 나왔다.
임 실장은 이번에 3차 남북 정상회담이 가시화될 경우 실무 총괄을 맡을 가능성이 있다. 문 대통령이 2007년 노무현 대통령 방북 때 비서실장으로서 정상회담 실무 총괄을 맡았기 때문이다.
또 특사 후보로 거론되고 있는 조 장관과 서 원장은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정책비서관과 국정원 3차장이던 2007년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회담을 실무적으로 주도했던 이들이다. 조 장관은 당시 비밀리에 방북해 사전교섭을 하는 등 남북 간 가교역할을 했다. 특히 지난달 9일 남북고위급 회담에 남측 대표로 나서 북한의 평창행을 마무리한 조 장관에 대한 청와대 내부 신뢰는 두터운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 일각에선 김 위원장이 유일한 동생인 김 부부장을 특사로 파견하는, 강력한 ‘혈족 카드’를 썼다는 점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의 3남 김홍걸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 대표 상임의장이 특사 후보로 거론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