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 발생 AI, 두가지 바이러스 재조합된 새로운 유형

2017-11-27 15:08
  • 글자크기 설정

농림축산검역본부, 육용오리 고병원성 AI(H5N6) 역학조사 중간상황 발표

전북 고창군 흥덕면 한 오리 농가에서 조류인플루엔자(AI) H5형 항원이 검출됨에 따라 지난 20일 방역당국이 주변 차량을 통제하고 있다. [연합]
 

전북 고창 육용오리 농장에서 발생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는 두가지 바이러스가 재조합된 새로운 유형의 바이러스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 바이러스가 겨울 철새 이동경로를 따라 국내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지난 17일 고창에서 발생한 육용오리 고병원성 AI(H5N6)에 대한 역학조사 중간상황 및 바이러스 유전자 분석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이번 AI 바이러스 유전자 분석 결과, 지난해 말 유럽에서 유행한 H5N8 바이러스와 유럽 야생조류 저병원성 바이러스(H3N6)가 재조합된 새로운 유형인 것으로 파악됐다.

검역본부에 따르면, H5 유전자는 지난해 네덜란드 야생조류(홍머리오리)에서 분리된 H5N8바이러스와 상동성(DNA 또는 단백질 서열 유사도)이 99.17%로 가장 높았다.

N6 유전자는 2014년 네덜란드 야생조류(흰뺨기러기)에서 분리된 H3N6바이러스와 가장 높은 상동성(97.25%)을 보였다.

다만 지난해 국내에서 발생한 H5N6와는 유전자 특성이 매우 상이했다. 또 올해 초 발생한 H5N8의 8개 유전자 중 4개 유전자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에 검역본부는 이들 바이러스 간 재조합에 의해 만들어진 새로운 바이러스가 올해 10월 이후 겨울철새를 통해 국내에 유입됐을 개연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했다.

철새 이동경로를 따라 감염된 철새가 야생조수류, 사람, 차량(기구) 등을 통해 발생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고병원성 AI가 발생한 전북 고창 육용오리 농장은 인근에 철새도래지(동림 저수지 등)가 있고, 최근 가창오리 등 철새 이동이 확인된 곳이다.

또 해당 농장축사 지붕에는 야생조류 분변이 다수 발견돼 AI바이러스에 노출됐을 가능성이 크다.

검역본부는 추가적으로 발생원인과 유입경로 파악을 위해 민관합동 조사팀을 꾸려 발생농장‧동림저수지 인근에서 폐사체‧분변 등을 852점 채취해 바이러스 확인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순천만 야생조류 분변에서 검출된 고병원성 H5N6 바이러스, 제주도 하도리에서 검출된 H5N6 바이러스에 대한 유전자 검사도 진행 중이다.

검역본부는 정밀검사 결과와 순천만‧하도리에서 검출된 바이러스 유전정보 등을 종합해 역학조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