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7박8일간 이어진 인도네시아·베트남·필리핀 3개국 순방을 마치고 귀국했다.
이번 순방은 한반도 주변 4강(强)을 중심으로 한 선진국 일변도의 외교를 다변화해 아세안을 겨냥한 신(新) 남방정책의 첫 선을 보이는 계기가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 지난 7월 독일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에 이은 아세안 지역 다자외교 무대인 아·태평화협력체(APEC)·아세안 정상회의를 무대로 한반도 최대 현안인 북핵 문제 해법에 대한 국제사회의 공감대를 확보한 것도 의미 있는 성과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전 브리핑을 열고 "굳건한 한·미 동맹을 토대로 북한 도발을 억제하고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국제 공조를 강화하는 동시에, 사드 문제로 경색되었던 한·중 관계를 정상화하는 전기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지난번 러시아에서 열린 동방경제포럼 당시 천명한 신북방정책에 이어, 신남방정책의 일환으로 아세안 미래 공동체 구상을 제시했다"며 "이로써 러시아와 유럽은 물론 아세안, 인도에 이르기까지 우리 외교 영역을 더욱 넓히고 다변화하는 기초를 마련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강조했다.
청와대는 △새 정부의 아세안 정책 소개 △한·중 관계 개선 재확인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 △평창동계올림픽에 대한 관심을 촉구한 것 등을 큰 성과로 꼽았다.
지난 8일 첫 방문국인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도착한 문 대통령은 9일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통해 한·인도네시아 관계를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하는 내용의 '한·아세안 공동번영과 평화를 위한 공동비전 성명'을 채택했다.
10일 베트남 다낭으로 건너간 문 대통령은 이튿날 APEC 정상회의에 참석해 우리 정부의 '사람중심 지속성장' 전략을 소개하고 APEC 차원의 포용성과 혁신 증진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박 대변인은 "인도네시아 국빈방문 및 베트남·필리핀·싱가포르와의 정상회담을 계기로 인프라 구축, 방산 협력, 중소기업 및 4차 산업혁명 관련 협력 등을 통해 한-아세안이 공동 번영할 수 있는 기반을 강화했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필리핀 마닐라에서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 일정을 소화하면서 신 남방정책의 비전과 실행 로드맵을 통해 아세안과의 협력관계를 5년 내에 한반도 주변 4강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내용의 '한·아세안 미래공동체' 구상을 직접 소개하고 회원국들로부터 공감과 지지를 이끌어냈다.
특히 문 대통령은 11일 베트남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관계의 최대 걸림돌이었던 사드 갈등에 마침표를 찍고 관계 복원을 정상 차원에서 공식화했다. 아울러 시 주석을 만난 지 이틀만인 13일 필리핀에서 중국의 경제정책을 총괄하는 리커창 총리와 회담을 갖고 사드 문제와 관련한 경제적 보복조치를 넘어 양국의 실질협력을 강화해나간다는데 뜻을 같이했다.
이어 14일에는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총리와의 회담을 통해 극동 개발을 포함해 미래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기로 합의한데 이어 △한·유라시아 자유무역협정 체결을 위한 실무 협의를 더욱 빠른 속도로 진행하고 △문 대통령이 제안한 '9개의 다리 전략'에 대한 정부 간 논의를 심화하기로 했다.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 확보도 성과로 꼽았다.
박 대변인은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우리정부의 노력에 국제사회의 지지 및 협력 공고화를 이끌어냈다"며 "중국과 러시아 등 주변 4국뿐 아니라 인도네시아·필리핀·싱가포르 등 아세안 핵심국가 정상들과의 양자회담을 통해 우리 정부의 북핵 불용,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 및 한반도 항구적 평화 구축 등에 대한 지지 및 협력을 확보했다"고 소개했다.
박 대변인은 또 "평창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홍보에도 진력했다"며 "각국 정상들과의 면담에서 내년 2월 평창동계올림픽과 패럴림픽이 진정한 평화 올림픽이 될 수 있도록 관심을 갖고 지지해달라고 당부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