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운용업계도 마케팅에 열을 올리기에 앞서 투자원칙을 세워야 한다. 기존 IT 펀드에 이름만 4차 산업혁명을 붙여 파는 것은 얕은 장삿속이다. 차이나 펀드 사태가 숱한 피해자를 낳은 것도 몇 해 지나지 않았다.
◆차이나펀드 악몽서 배워야
3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해외 4차 산업혁명 펀드와 달리 국내에서는 IT에만 집중하는 상품이 우후죽순처럼 쏟아지고 있다.
이미 우리 투자자에게는 특정 지역이나 테마에만 투자했다가 심각한 피해를 입은 경험이 많다. 여기서 배워야 하는 게 맞지만, 또다시 업계는 유행만 좇아 마케팅하기 일쑤다.
가장 큰 본보기는 글로벌 금융위기와 차이나 펀드다. 중국 주식형 펀드는 국내 펀드 시장이 정점을 맞은 2007년 한 해에만 16조8000억원을 쓸어담으며 붐을 일으켰다.
하지만 금융위기 충격에 중국과 홍콩 증시가 수직으로 하락했다. 손절매 기회를 놓치는 바람에 발을 묶인 투자자가 많았다. 차이나 펀드는 당시로부터 약 10년 만인 올해에서야 겨우 원금을 회복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차이나 펀드를 들고 있었던 투자자는 많지 않다.
◆확신 없을 땐 '위성펀드'로 투자해야
당장 4차 산업혁명에 투자한다면 핵심펀드보다 위성펀드로 활용하라는 조언이 많다. 즉, 4차 산업혁명 비중을 전체 자산 가운데 3분의 1 미만으로 유지하라는 얘기다. 이를 통해 쏠림에 따른 위험을 줄이고, 분산투자 효과를 꾀할 수 있다.
김후정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4차 산업혁명 펀드는 투자대상이 아직 협소해 핵심펀드보다 위성펀드로 활용하는 전략이 유리하다"며 "핵심펀드를 70~80%, 4차 산업혁명은 20~30%만 배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부 상품은 균형을 추구하는 포트폴리오를 짜고 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삼성전자와 카카오 같은 IT뿐 아니라 바이오·화학·로봇주인 한미약품, 메디톡스, 삼성바이오로직스, LG화학, 현대로보틱스도 편입한다.
김후정 연구원은 "중국 내수시장이 커지면서 현지 인터넷 관련 펀드도 만들어지고 있다"며 "4차 산업혁명 상장지수펀드(ETF)도 투자전략을 다양화하는 차원에서 고려해야 한다"고 전했다.
그는 "투자 분야가 세분화된 펀드는 시장 상황에 따라 수익률이 높을 수 있지만, 반대로 리스크도 클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