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3년 만에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0%로 제시했다. 글로벌 경기가 회복되는 가운데 국내 경기 성장세 역시 견고해졌다는 판단에서다.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2.0%로 상향 조정했다.
한국은행은 19일 '2017~2018년 경제전망'을 통해 경제성장률을 올해 들어 세차례 상향 조정했다. 지난 4월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5%에서 2.6%로 올리고 7월 다시 2.8%로 높였다. 이처럼 한은이 한 해의 성장률 전망치를 세 번 연속 높인 건 2010년 이후 7년 만이다.
한은에 따르면 올해 국내경제는 글로벌 경기회복으로 상품수출과 설비투자가 호조를 이어가고 있다. 민간소비도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면서 개선 흐름을 보이고 있다. 정부 추경과 내수 활성화 대책에 대한 기대감도 성장률 상향 이유 중 하나다.
하반기로 갈수록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 영향도 완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장민 한은 조사국장은 "사드 갈등에 따른 경제보복이 올해 경제성장률을 0.4%포인트 끌어내리는 요인으로 작용했지만 과거 사례에 비춰 사드 보복이 1년 안에 마무리될 것으로 추정한다"며" "오히려 내년 경제성장률을 0.1%포인트 올리는 효과로 작용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몇 개월째 지속되는 북한 리스크도 경계 대상이다. 이 총재는 "경계감이 해소되지 않고 남아 있는 상황"이라며 "북한 리스크 전개 상황에 유의해서 외국인 투자 자금 흐름을 주의 깊게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2018년 경제성장률은 2.9%로 지난 7월 전망과 동일하다. 이 총재는 "상·하방 리스크가 있는 게 사실이지만 내년에 세계경제 회복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정책 등의 영향으로 민간소비의 증가세가 확대됨에 따라 2.9%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는 정부 소비와 경제활성화 정책 등으로 올해보다 증가율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설비투자는 올해 급증에 따른 기저효과로 증가율이 급감하겠지만 정보기술(IT) 등 일부 업종을 중심으로 완만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상품수출은 세계교역 회복 등에 힘입어 회복세를 이어가고, 서비스수출은 올해 큰 폭으로 감소한 기저효과로 인해 증가할 것으로 추정됐다.
건설투자만 유일하게 경제성장 전망이 어둡다. 건물 착공면적 감소와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축소 탓이다. 올해 경제성장 전망은 10.7%인 데 반해 내년엔 6.9%로 전망됐다.
이 총재는 "최근 2~3년간 높은 증가세를 나타냈던 건설경기가 내년엔 조정기를 겪을 것"이라며 "기저효과로 인해 경기가 악화되는 것으로 보이겠지만 큰 침체로 이어지진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
최근의 경기 회복세는 연내 금리인상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작용하고 있다. 연내 금리인상 가능성에 힘이 실리는 이유다. 올해 경제성장률을 상향 조정한 데다, 이일형 금융통화위원이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소수의견을 제시하며 금리인상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2.0%, 내년 1.8%로 전망했다. 내년 상승률이 더 낮은 이유는 수요 측 물가압력 증대에도 석유류 가격의 기저효과가 줄고, 농축수산물 가격의 오름세 둔화 전망 등 공급 측 요인에 주로 기인한다. 수요 측 물가압력을 나타내는 근원인플레이션(식료품·에너지 제외지수)은 올해 1.6%에서 내년 1.9%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