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와 사용자 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는 가운데 ‘6·30 사회적 총파업’ 대회가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30일 열렸다.
민주노총 측 추산 5만여 명에 달하는 노동자가 모였음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정돈된 모습이었다. 무대를 기준으로 분홍색과 연두색 조끼와 모자를 맞춰 입은 노동자들은 저마다 ‘비정규직 완절 철폐’, ‘근로수당 인상’ 등이 적힌 플래카드를 연신 흔들어 보였다.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동자·청소노동자·간접고용 비정규직 노동자·건설노동자가 주를 이뤄 열리는 이번 총파업은 김욱동 민주노총 부위원장의 개회사로 시작을 알렸다. 이어 한상균 민주노총 위원장과 감옥에 있는 양심수를 향한 묵념이 진행됐고 ‘임을 위한 행진곡’이 광장에 울려 퍼졌다.
최종진 민주노총 위원장 직무대행은 “사회적 총파업은 국민 모두의 삶을 지키는, 모든 노동자의 권리를 위한 사회적 총파업이다”라며 “사회적 총파업의 주인공은 최저임금 받는, 비정규직 노동자”라고 파업의 의의를 설명했다.
이날 대회에선 민주노총과 함께 총파업을 주최한 '최저임금 만원-비정규직 철폐 공동행동' 소속 청년들의 발언도 있었다. 김계호 한신대 부총학생회장은 “대학생 청년으로서 재벌만의 세상을 거부한다”며 “이번 총파업을 시작으로 노동자가 (나라의) 주인임을 알리고 투쟁하겠다”고 말했다.
이가현 알바노조 위원장은 “아르바이트 노동자들은 최저임금 6470원을 최고임금을 받고 있다”며 ‘최저임금 만원, 지금 당장’구호를 이끌어 내기도 했다.
이외에도 현장에선 ‘아이들에게 비정규직 없는 세상을 만들어주자’, ‘언제 짤릴지 모르는 숨은 노동 거부한다’, ‘노조 설립 거부를 이제 거부한다’는 등의 요구를 전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오후 4시께 광화문 광장 북단에서 시작한 이들의 행진은 광화문 사거리를 지나 종각을 거쳐 종로3가를 통과했다. 1시간여 정도 행진을 마친 후 이날 대회는 마무리됐다.
한편 지난 28일 한국경영자총협회(이하 경총)이 전국민주노동총연맹(이하 민주노총) 사회적 총파업을 정면 비판하고 나서자, 민주노총은 경총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2018년도 최저임금에 대한 6번의 전원회의 끝에 내놓은 ‘노동자 측 1만원, 경영자 측은 6625원’이라는 간극이 좁혀지지 못한 탓에 노사 간 입장 차는 역력히 드러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