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명구 산업은행경제연구소 미래전략개발부 선임연구위원은 26일 '인도네시아 PPP사업의 전망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를 보면 인도네시아의 연간 적정 인프라 투자 수준은 국내총생산(GDP)의 6.2%로 추정된다. 하지만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재정 적자가 지속되면서 GDP 대비 인프라 투자 비중은 2005년 5.24%에서 2015년 4.0% 수준으로 축소됐다.
이로 인해 인도네시아는 도로, 철도, 항만, 공항, 전력, 수처리 등 사회기반시설이 전반적으로 부족하고 낙후돼 있는 실정이다. 세계경제포럼(WEF·World Economic Forum)의 평가를 보면 지난해 인도네시아의 인프라 지수는 평점 4.2로서 138개 국가 가운데 60위에 그쳤다. 특히 도로, 항구, 공항 등은 말레이시아, 태국 등 주변 국가보다 떨어지는 수준이었다.
이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PPP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진 상황이다. 하지만 작년 말까지 인도네시아에서 계약을 완료하고 건설 단계에 있는 PPP의 경우 외국 기업의 참여가 전무한 실정이다. 대부분 인도네시아 공기업과 민간기업에 의해 공사가 진행 중이다.
이에 대해 강명구 선임연구위원은 "PPP에 대한 투자가 인도네시아 루피아로만 이뤄지고 있어 환헷지가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환리스크가 없는 인도네시아의 민자발전사업에는 외국기업들의 참여가 활발한 상황이다. 인도네시아의 전력요금은 달러 환율에 연동돼 있어 환율 변동에도 손실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인도네시아의 PPP는 중앙 및 지방 정부의 적극적인 참여와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의 투자 증가로 향후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인도네시아의 PPP 규모는 2017년 84억 달러에서 2026년에는 324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관련, 강 선임연구위원은 "인도네시아의 시장 기회와 경제 성장 잠재력을 고려하면 한국계 기업과 금융기관들이 인도네시아 PPP 진출을 외면하기 어렵다"면서 "환리스크 헷지 및 동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