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오진주 기자 = 서울시가 문재인 정부의 청년주택 공급 정책에 힘입어 역세권 청년주택 1만5000호를 올해 공급한다.
시는 ‘역세권 2030 청년주택’을 당초 목표였던 45개 사업지에서 총 1만5000호를 연내 공급한다고 26일 밝혔다.
민간사업자는 주거면적 가운데 10~25%를 공공기여로 시에 제공하고, 시는 이를 주변시세의 68~80% 수준의 임대료로 공급한다. 나머지 75~90%는 민간임대주택으로 건설해 민간사업자가 주변시세의 90% 수준으로 공급한다.
앞서 문재인 정부는 대학생과 청년들의 주거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전국에 역세권 청년주택 20만실을 확보하고 대학기숙사 수용인원을 5만명을 확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미 시는 지난 3월 △용산구 한강로2가(1916호) △서대문구 충정로3가(523호) △마포구 서교동(1177호) 등 세 곳에서 사업계획 승인을 받아 총 3616호를 짓는 공사에 들어갔다.
현재 사업인가가 진행 중인 곳은 △강남구 논현동 △송파구 잠실동 △성동구 용답동 △강서구 화곡동 △도봉구 쌍문동 등 14곳으로 인가를 마치는대로 공사를 시작한다. 나머지 28곳은 사업인가를 준비하고 있다.
시는 그동안 고액 임대료 논란을 겪었던 점을 불식시키기 위해 장기안심주택 제도와 주택바우처 제도를 활용할 예정이다.
시는 또 개정된 조례를 통해 사업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지난달 18일 공포된 관련 조례를 통해 역세권 요건인 도로 폭 기준 30m 이상이 25m 이상으로 완화돼 역세권이 212곳에서 236곳으로 24곳 증가했다.
이 외에도 근린상업지역 약 82㎡가 사업대상지에 새로 포함됐으며, 신림·노량진동 등 청년들이 밀집한 곳을 시장이 사업대상지로 별도 지정할 수 있다.
서울주택도시공사(이하 SH공사)는 사업 과정이나 주택관리를 대행해주는 방식으로 민간사업자를 도울 계획이다. 현재 SH공사는 용답동 청년주택의 토지주와 일반사업관리 계약을 맺고 인허가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정유승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전국에서 청년주택 20만호를 확보해야 하는데 그 중 상당수를 시가 확보해야 할 것”이라며 “국토교통부와 적극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