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선국 기자 =문재인 정부가 '일자리 창출' 공약 이행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농산업 분야가 '일자리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400만명 수준의 농산업 고용시장은 전체 산업에서 17%를 차지할 정도로 다른 산업에 비해 비중이 높다. 이 분야의 고용정책을 어떻게 펼치냐에 따라 우리나라 청년 고용여건이 달라질 수 있어 정부의 적극적인 시장 개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현재의 청년고용 문제는 개인의 문제보다 사회 구조적인 문제가 큰 상황이기 때문이다. 특히 농산업 분야는 다른 산업에 비해 노동생산성이 낮지만, 예산 투입 대비 고용효과가 뛰어나 정책 입안자들 사이에서 주목받을 전망이다.
26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분석한 '농산업분야 청년고용 활성화 방안'에 따르면, 이 산업에서 고용창출 가능 인력은 내년까지 61만명, 오는 2023년 116만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중장기 인력 수급전망과 기존 종사자의 은퇴를 고려하면, 농산업분야에는 2018년까지 60만7000명, 2023년까지 115만9000명의 고용 창출이 가능하다.
특히 농림생산 부문은 2023년까지 61만1000명으로 가장 많은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어 외식부문 33만6000명, 농림식품 가공 9만8000명, 농림유통 8만명, 농림서비스 2만9000명, 농림 투입재 5000명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청년인구 유입이 가장 필요한 농산업분야의 인력육성 기반은 취약한 상황이다. 도시보다 낮은 임금, 정규성 없는 근무시간, 미흡한 제반 복지 여건, 적은 자기계발 기회 등이 이유로 꼽힌다.
마상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인력 교육-육성-공급-활용을 포괄하는 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농림축산식품부 내 농산업 인력 전담조직을 구성해야 한다"며 "40대 이하 청년 귀농자를 위한 농산업 교육 패키지 사업과 인턴십 프로그램 등 학교와 농산업체 간 산학협력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근 농산업분야가 드론과 로봇,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에 활용되는 최첨단 기술 접목 산업으로 떠오르며 청년 층 유입의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발맞춰 정부는 농산업 분야의 청년층 유입에 분주한 모습이다. 농식품부는 지난 26일 농촌진흥청, 산림청,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한국농어촌공사 등 농식품 관련 기관과 농산업 분야의 일자리 창출 방향을 논의했다.
김재수 농식품부 장관은 "농식품 분야는 4차 산업혁명 기술과 같은 다양한 기술과 아이디어를 접목하면 청년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잠재성이 큰 분야로, 에이토랑(aTorang)처럼 청년 창업을 지원하는 다양한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에이토랑은 외식 창업 인큐베이팅 팝업 레스토랑으로, 젊은 학생들이 2∼3주간 직접 식당을 운영해 창업 노하우를 습득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aT의 지원 사업이다.
김재영 고려대 교수는 "당장의 청년층 농산업 유입 정책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라며 "일자리 창출에 앞서 청소년과 청년의 농산업분야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이들이 먼저 농산업 현장을 찾게하는 정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400만명 수준의 농산업 고용시장은 전체 산업에서 17%를 차지할 정도로 다른 산업에 비해 비중이 높다. 이 분야의 고용정책을 어떻게 펼치냐에 따라 우리나라 청년 고용여건이 달라질 수 있어 정부의 적극적인 시장 개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현재의 청년고용 문제는 개인의 문제보다 사회 구조적인 문제가 큰 상황이기 때문이다. 특히 농산업 분야는 다른 산업에 비해 노동생산성이 낮지만, 예산 투입 대비 고용효과가 뛰어나 정책 입안자들 사이에서 주목받을 전망이다.
26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분석한 '농산업분야 청년고용 활성화 방안'에 따르면, 이 산업에서 고용창출 가능 인력은 내년까지 61만명, 오는 2023년 116만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중장기 인력 수급전망과 기존 종사자의 은퇴를 고려하면, 농산업분야에는 2018년까지 60만7000명, 2023년까지 115만9000명의 고용 창출이 가능하다.
특히 농림생산 부문은 2023년까지 61만1000명으로 가장 많은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어 외식부문 33만6000명, 농림식품 가공 9만8000명, 농림유통 8만명, 농림서비스 2만9000명, 농림 투입재 5000명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청년인구 유입이 가장 필요한 농산업분야의 인력육성 기반은 취약한 상황이다. 도시보다 낮은 임금, 정규성 없는 근무시간, 미흡한 제반 복지 여건, 적은 자기계발 기회 등이 이유로 꼽힌다.
마상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인력 교육-육성-공급-활용을 포괄하는 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농림축산식품부 내 농산업 인력 전담조직을 구성해야 한다"며 "40대 이하 청년 귀농자를 위한 농산업 교육 패키지 사업과 인턴십 프로그램 등 학교와 농산업체 간 산학협력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근 농산업분야가 드론과 로봇,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에 활용되는 최첨단 기술 접목 산업으로 떠오르며 청년 층 유입의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발맞춰 정부는 농산업 분야의 청년층 유입에 분주한 모습이다. 농식품부는 지난 26일 농촌진흥청, 산림청,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한국농어촌공사 등 농식품 관련 기관과 농산업 분야의 일자리 창출 방향을 논의했다.
김재수 농식품부 장관은 "농식품 분야는 4차 산업혁명 기술과 같은 다양한 기술과 아이디어를 접목하면 청년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잠재성이 큰 분야로, 에이토랑(aTorang)처럼 청년 창업을 지원하는 다양한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에이토랑은 외식 창업 인큐베이팅 팝업 레스토랑으로, 젊은 학생들이 2∼3주간 직접 식당을 운영해 창업 노하우를 습득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aT의 지원 사업이다.
김재영 고려대 교수는 "당장의 청년층 농산업 유입 정책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라며 "일자리 창출에 앞서 청소년과 청년의 농산업분야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 이들이 먼저 농산업 현장을 찾게하는 정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