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조사는 기존 채널별 시청시간을 측정하는 시청점유율 조사와 별도로 플랫폼·채널·프로그램이 실제로 다양하게 공급되고 있는지 확인, 향후 미디어다양성 정책수립에 참고하기 위해 실시했다.
조사항목은 19개로 구조적 차원과 내용적 차원의 지표로 구성됐다. 구조적 차원 지표는 사업자별 플랫폼 비율, 장르별 채널개수 비율 등 ‘공급측면의 다양성’과 플랫폼별 가입자 비율, 프로그램의 제작주체별 시청비율 등 ‘이용측면의 다양성’으로 총 11개 항목으로 구성됐다.
내용적 차원 지표는 지역 플랫폼(가입자)의 비율, 시사․보도 채널의 (시청)비율, 공공․공익․복지 채널의 (시청)비율, 프로그램 등장인물 비율과 시청자 인식조사 결과 등 8개 항목을 설정했다.
채널을 오락, 종합편성, 교양, 정보 등 4개 장르로 구분한 비율은 총 231개 채널 중 오락채널이 130개로 나타나 종합편성(18개), 교양(34개), 정보(49개) 등 다른 장르의 채널보다 개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월부터 9월까지 방송된 특정 프로그램 장르에 대한 제작사별 시청률 비중을 살펴본 결과 드라마(71개 제작사)와 애니메이션(91개 제작사)의 HHI가 각각 644.7(드라마), 655.1(애니메이션)로 집중도가 매우 낮았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방송내용에서 현실을 어떻게 묘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드라마의 등장인물 분석도 실시했다. 2016년 1월부터 9월까지 방송된 7개(지상파 4개 채널, JTBC, tvN, OCN)채널의 43개 드라마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젊고 부유한 전문직종이 실제 연령이나 직업 보다 많이 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보다 노년층 과소, 30~40대 및 10~20대가 과다 출연하고 있었으며, 전문가는 실제 보다 많이, 노동계층(블루칼라)은 적게 나와 인구통계학적 현황과 차이를 보여주고 있었다.
방통위는 올해 조사와 관련, 프로그램 내용 분석 기간을 2016년 9개월에서 1년으로 확대하고 대상 장르도 드라마외 다른 장르도 추가하는 것을 검토하는 등 프로그램 내용 다양성을 더 심도 깊게 분석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