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정로칼럼] 돈의 수명을 늘리자

2017-03-26 06:00
  • 글자크기 설정

[사진=미래에셋은퇴연구소 제공]


김경록 미래에셋은퇴연구소장

나의 수명에 돈의 수명을 맞추는 게 좋다. 수명보다 돈이 먼저 바닥 나면 노후파산을 한다. 그렇다고 돈의 수명에 나의 수명을 맞출 수는 없다. 우리 사회는 수명은 자꾸 길어지는데 조기퇴직과 저금리로 돈의 수명은 오히려 짧아지고 있다. 돈의 수명을 늘려서 은퇴자금이 고갈되지 않게 해야 한다. 그런데 돈의 수명을 어떻게 늘려야 하는 걸까?
돈의 수명을 늘리는 방법에는 연금과 투자 두 방법이 있다. 우선, 종신연금은 종신토록 연금을 받기 때문에 나의 수명과 돈의 수명이 일치된다. 지금 종신연금을 1억원 가입하면 사망할 때까지 매월 30만원 이상 받는다. 오래 살면서 돈을 더 쓰는 위험은 보험사가 떠맡는다. 나의 수명이 아무리 길어져도 보험사가 망하지 않는 한 그 돈을 받기 때문이다. 물론 보험사는 이러한 위험을 아무 대가 없이 떠맡지 않는다. 그에 상응하는 만큼의 보험료를 받는다. 종신연금으로 매월 받는 금액이 투자자산에서 얻는 수익보다 낮은 이유다. 하지만 오래 살게 되면 종신연금으로 받는 총 금액이 투자자산으로 운용했을 때보다 더 많게 될 수 있다. 그래서 종신연금으로 수익성을 높이려면 오래 살면 된다.

둘째, 투자는 보유자산의 수익을 높여서 돈이 고갈되는 속도를 늦춘다. 1억원이 있는데 매년 1000만원을 인출한다고 하자. 운용수익률이 10%일 때는 21년 동안 인출할 수 있는 반면에 운용수익률이 2%일 때는 12년이면 돈이 바닥난다. 수익률이 높을수록 돈의 수명은 길어진다.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투자를 해야 한다. 다만 투자에는 위험이 따르기 때문에 투자자산을 관리하는 방법을 익혀야 한다. 무엇보다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운용하는 자금이 장기자금이어야 한다. 그런데 장수시대에는 수명이 길어져서 자금의 구조도 장기가 된다. 예를 들어, 개인연금이나 퇴직연금은 최소한 30년 이상은 운용을 해야 하는 장기펀드이다. 이러한 자금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예금과 같은 단기자산이 아니라 투자자산으로 운용수익을 높이는 것이 올바른 방향이다. 장수사회는 투자에 적합한 환경인 셈이다.

연금과 투자자산으로 노후를 대비하기로 했다 하더라도 이를 어떤 비중으로 가져가야 하느냐는 문제가 남아 있다. 연금이 나의 수명과 일치된다고 모두 연금에 투자할 수는 없다. 연금은 한번 개시되면 중도에 해지할 수 없으므로 유동성이 거의 없어지고, 또한 수비적인 자산이다 보니 수익성이 낮다. 그래서 연금은 자신이 노후에 최소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정도의 돈이 나오게끔 가입하면 된다. 국민연금, 종신연금, 주택연금 등을 잘 활용해서 이 금액을 맞추는 게 좋다.

수익성이 높다고 투자자산으로 모두 채우는 것도 잘못이다. 수익에는 위험이라는 비용이 뒤따르기 때문이다. 노후 생활에 필요한 최소한의 소득은 연금으로 마련하고 그 나머지를 투자자산으로 배분하는 게 좋다. 또한 60대 이상은 투자자산을 갖되 중위험·중수익이 좋다. 절대수익이나 해외채권처럼 중위험·중수익 자산을 직접 가지거나 주식, 채권을 섞어서 중위험·중수익 자산을 만들어도 된다. 여유자금으로 운용하는 돈이다 보니 투자자산의 가격이 좀 떨어져도 견딜 수 있다. 수익이 많아지면 좀 더 여유로운 삶을 덤으로 가진다고 보면 되고 수익이 나빠지면 조금 적게 쓴다고 생각하면 된다. 장기적으로는 결국 더 많은 돈을 쓸 수 있게 될 것이다.

우리나라 60대 이상은 70% 정도를 부동산으로, 25% 정도를 예금으로 갖고 있다. 저성장·고령화·금리상승 시기에 부동산을 많이 갖고 있는 것은 위험하다. 정기예금 금리가 1%대인 때 예금을 갖고 있는 것도 부적합하다. 더욱이 장수시대에 단기자금인 예금을 보유하는 것은 맞지 않다. 자산구성을 바꾸어 돈의 수명을 길게 해야 한다. 부동산과 예금의 비중을 줄여 연금과 투자자산의 비중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주택은 주택연금을 통해 연금으로 바꿀 수 있다. 국민연금과 주택연금을 합쳐도 모자라면 종신연금으로 보완하면 된다. 그리고 유동성 자금만큼 예금을 가지고 나머지는 투자자산으로 채운다. 투자자산은 국내에 집중하지 말고 글로벌로 분산하는 게 좋다.

수명이 얼마나 길어질지에 대한 불확실성도 커진 시기에, 돈의 수명도 이에 맞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 노후의 자산구조를 연금과 투자로 다시 짜기를 추천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