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1년 간의 준비기간을 거쳐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단계 '서울형 도시재생지역' 총 17개소를 최종 확정, 16일 발표했다. 중심지재생지역이 7곳, 주거지재생지역은 10곳이다. 서울형 도시재생지역'으로 선정된 지역은 서울시가 5년간 총 2000억원 내외의 사업비를 지원한다. 오는 3월부터 계획 수립을 시작으로 사업을 본격 시작하게 된다.
앞서 서울시는 서울역 역세권 일대, 세운상가 일대, 창신·숭인 일대 등 쇠퇴한 서울도심을 중심으로 1단계 13개소 지역을 선정한 바 있다. 2단계 사업지는 도심을 포함해 동북·서남권 등에 고르게 분포돼 있다.
선정된 17개소는 △중심지재생지역이 경제기반형(최대 500억원 지원) 1개소 △중심시가지형(최대 200억원 지원) 6개소가 있고 △주거지재생지역은 근린재생일반형(최대 100억원 지원) 7개소 △주거환경관리사업 연계형(20∼30억원 지원) 3개소 등 4개 유형으로 나뉜다. 경제기반형 1개소는 영등포·경인로 일대(79만㎡)가 선정됐다. 산업구조 변화 등으로 낙후된 지역으로 서남권의 성장을 견인하기 위한 광역 차원의 새로운 경제거점으로 개발된다.
용산전자상가(21만㎡)는 창업지원 인프라로 활용된다. 독산우시장(48만㎡)은 2023년 개통 예정인 신안산선 신독산역에 맞춰 환경을 개선하고 청량리·제기동 일대(49만㎡)는 청량리종합시장 내 한방, 농수산물, 청과물 등의 자원을 활용한 특화산업을 육성한다. 4·19사거리 일대(63만㎡)는 근현대사기념관, 4·19민주묘지 등 풍부한 자연·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역사문화특화 중심지로 육성한다.
이어 주거지재생 10개소는 근린재생 일반형 7개소, 주거환경관리사업 연계형 3개소로 구분된다. 근린재생 일반형 7개소는 △수유1동(북한산 인근 최고고도지구 저층주거지) △창3동(창동골목시장 등 골목상권 침체) △불광2동(5개 초·중·고교 밀집지역) △천연․충현동(역사문화자원 도심인접지) △난곡·난향동(경사지 노후주택 밀집지역) △안암동(고려대 캠퍼스타운 연계지역) △묵2동(중랑천 인접지, 장미축제 활성화)이다. 7개소 중 5곳은 뉴타운·재개발 해제지역이다.
주거환경관리사업 연계형 3개소는 △신영동(구릉지 단독주택 중심 저층주거지) △수색동(DMC 인근 뉴타운해제지역) △목2동(마을공동체 활성화지역)이다. 시는 올해에도 3단계 주거지재생사업을 위한 20개 희망지사업을 선정해 진행할 예정이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물리적 재생만이 아닌 경제, 사회, 문화를 포괄하는 인문적 재생을 통해 공동체의 복원과 지속가능성을 담보해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