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서도 볼 수 없었던 전통기와 제작 시연, 2017 한옥박람회에서

2017-02-03 16:55
  • 글자크기 설정

대한민국의 마지막 남은 수제기와 장인 제와장 김창대

아주경제 박흥서 기자 =김창대 전통 기와 전수자의 기와 제작 시연이 오는 9일에 개막하는 2017 한옥박람회를 통해 대중과 만난다.

기와는 한옥에서 빗물, 습기, 목재의 부식을 막는 실용적인 역할 뿐 아니라 목구조 건물 전체 경관을 돋보이게 하는 장식이 더해져 한국적인 미의식을 드러내는 중요한 요소다.

한옥의 지붕위에 얹어진 기와는 우리에게 친숙하지만 그 제작과정은 다소 생소하여 모르는 사람들이 대다수이다.

기와를 만들기 위해서는 진흙 점토를 물과 반죽해서 나무틀에 넣고 틀의 외부에 마포나 무명을 깔고 반죽한 진읅을 다져 점토판 위에 씌우게 된다.

그런 과정을 거친 후에 방망으로 두들겨 충분히 말린 후 가마에서 1000도 이상의 온도로 구워내야 하는 복잡한 공정을 거치게 된다.

화력이 좋은 소나무만을 골라 불을 지피고 짚임불, 초불, 중불, 대불 넣기 순으로 가마의 온도를 높여주는 일 역시 장인의 몫이다.

조선와요의 김창대 대표는 중요무형문화재 제 91호 제와장 전수교육조교로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고 한형준 제와장의 제자이다.

김창대 장인이 건조되기 전 기와를 다듬고 있다[사진=한옥박람회 조직위]


부산시청에서 공무원 생활을 하다 1998년 다큐멘터리를 통해 처음 고 한형준 제와장님을 알게 된 이후, 전남 장흥에서 제와일을 배우기 시작했다.

문화재 전문가들에게 수제기와 사용의 중요성을 설득시키고 분실된 잡상의 원형을 찾아 정리하고 전통 가마를 재현하는 것까지 성사시켰다.

김창대 제와장은 “기술의 보존 차원에서라도 수제기와의 제작방식이 전해져 내려와야 한다”며 “일관성 있게 일감이 있지 않으면 기술이 전수되기 어렵다”고 전했다. 특히 건축문화재에 있어서만큼은 원형보존과 문화재의 진정성을 고려해서 수제기와 제작이 더욱 활성화 되어야 한다.

모든 과정이 전통방식에 따라 수작업으로 이뤄지기에 이번 박람회에서 그가 보여줄 시연에 2017한옥박람회 조직위원회 측은 “사전신청 문의시 제와장 시연 프로그램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많은 만큼 이번 기회를 통해 전통기술을 이어오는 장인들이 대중과 소통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해왔다.

특히 물래와 와통, 바대, 나대 등, 작업장에서 실제 쓰이는 김창대 장인의 기와제작 도구들을 전시장에서 만나볼 수 있는 것이 큰 기대를 모은다.

2017 한옥박람회는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와 한옥박람회 조직위원회 주최로 월간한옥이 주관하고 KBS가 후원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