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79%, 직장서 소통장애 겪어

2017-02-03 09:30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박정수 기자 = 직장인 79.1%, 알바생 61.0%가 직장 내에서 소통 장애를 겪어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취업포털 잡코리아와 알바몬은 ‘직장 내 소통’을 주제로 직장인과 알바생 286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 직장 내에서 느끼는 소통의 중요성에 대해 물었다.

잡코리아는 먼저 컨택트 속 주인공처럼 외계인이라도 만난 듯한 소통의 장애를 직장에서 경험한 적이 있는지를 물었다. 질문 결과 직장인의 79.1%, 알바생의 61.0%가 ‘직장 내 소통장애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 밝혔다.

근로자들이 소통에 장애를 겪는 대상(복수응답, 이하 응답률)으로는 △사장님 등 회사임원(39.6%)이 1위를 차지했다. △상사(36.9%), △고객(30.4%), △동료(23.9%), △거래처 및 협력사 등 회사 외부 조직(15.9%), △타 부서 직원(13.4%)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응답군별로 살펴보면 알바생들은 △고객(43.5%)을 가장 소통하기 어려운 대상으로 꼽은 반면, 직장인들은 △상사(41.5%)와의 소통장애를 호소하는 목소리가 가장 높았다.

직장인과 알바생들이 소통이 안된다고 느꼈던 이유는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내용은 같았다.

소통장애를 느낀 이유(복수응답, 이하 응답률)를 살펴보면 절반을 넘는 55.0%의 응답자가 ‘상대방의 말은 듣지 않고 자기 말만 하는 탓’에 소통에 장애가 생기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알아들은 줄 알았는데 이후에 아무 것도 반영되거나 바뀌지 않아서(39.7%)’와 ‘내 말을 도무지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아서(36.8%)’가 근소한 차이로 2, 3위를 다퉜다.

이 밖에도 ‘영혼 없는 리액션 때문에(26.9%)’, ‘나만 말하고 상대는 대답이나 반응이 없어서(19.2%)’, ‘요점을 비껴 겉도는 대화 탓에(16.6%)’, ‘정체 불명의 신조어나 외국어를 남발하는 이상한 어휘 사용 때문에(14.3%)’ 소통에 장애를 겪는다고 느낀다는 응답도 있었다.

잡코리아-알바몬 공동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통장애를 겪은 근로자 열 명 중 아홉 명이 이로 인해 회사, 아르바이트 생활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 참여한 근로자의 42.1%가 ‘소통단절이 근로 의욕을 꺾는다(알바생 44.0%, 직장인 39.8%)’고 답했다. 또 ‘인간관계에 대한 스트레스로 힘들어진다(20.9%)’거나 ‘업무 단절, 조직 내 고립 등으로 업무 효율 저하(13.6%)’, ‘애사심 저하(6.5%)’ 등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반면 소통장애가 회사생활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응답은 4.6%에 불과했다. ‘공공의 적이 생겨서 오히려 다른 동료들과 끈끈해진다’는 뜻밖의 효과를 꼽은 응답도 7.2%로 나타났다.

사회생활을 하는 데 있어 소통능력이 경쟁력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자의 83.5%가 ‘그렇다’고 단언했다. 14.0%는 ‘직무에 따라 다르다’고 답했으며, ‘아니다’라는 응답은 2.6%를 얻는 데 그쳤다.

상대방과 소통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을 묻는 질문에는 △공감능력(28.4%)이 1위로 꼽혔다. 이어 △대화의 태도와 자세(23.6%), △경청(23.5%)이 앞뒤를 다퉜다. △적당한 어휘 사용(7.8%), △대화 후의 행동∙실천(7.8%), △꾸준한 관심(5.2%), △말솜씨(3.2%) 등이 필요하다는 응답도 있었다.

또 근로자 90.0%는 평소 직장 내에서 원활한 소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답하기도 했다. 근로자들이 직장 내 소통을 위해 기울이는 노력(복수응답, 이하 응답률)을 살펴보면 응답자의 74.4%가 ‘평소 상대방의 이야기를 잘 들어준다’고 답해 1위를 차지했다. ‘적절한 호응으로 상대방의 이야기에 장단을 맞춰준다(57.7%)’는 응답도 절반을 훌쩍 넘는 응답자들이 선택했다.

이밖에도 ‘충분한 공감을 표시한다(35.6%)’거나, ‘대화할 때 눈을 맞추고 표정을 관리한다(31.6%)’, ‘이미지를 관리한다(15.2%)’, ‘이전 대화를 잇는 질문을 하는 등 상대방의 이야기를 기억하고 있다는 걸 표현한다(14.2%)’, ‘상대방과 공통의 관심사를 발굴해둔다(12.4%)’, ‘꾸준히 관심을 표현한다(9.5%)’ 등 다양한 응답이 이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