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기관간 환매조건부채권 거래 1경 돌파

2017-02-01 15:19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정호 기자 = 한국예탁결제원은 작년 한 해 기관 간 환매조건부채권(Repo·레포) 거래 금액이 1경1277조원으로 전년(8069조원)보다 39.8% 증가했다고 1일 밝혔다.

하루평균 잔액은 51조9000억원으로 전년(38조8000억원)에 비해 33.8% 늘었다.
최근 5년 동안 기관 간 레포 거래가 꾸준히 늘면서 지난해 거래규모는 2012년(3763조원)에 비해 3배가량 성장했다.

예탁결제원은 이런 성장세에 대해 “지난 2013년 발표된 금융위원회의 금융회사 간 단기자금시장 개편방안에 따라 콜시장은 은행 중심으로 운영되고, 증권회사 등 제2금융권이 단기자금 조달 수단으로서 기관 간 레포 거래를 적극 활용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2012년에는 기관 간 레포 시장이 콜시장의 0.8배 수준이었으나 지난해에는 3.3배 규모로 성장했다.

업종별로는 매수잔액(자금대여) 기준으로 자산운용사가 19조400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국내은행(신탁) 11조3000억원, 국내증권사(신탁) 5조7000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매도잔액(자금차입) 기준으로는 국내 증권사가 32조원으로 가장 많았고, 자산운용사 9조4000억원, 국내은행 4조3000억원, 국내증권사(신탁) 1조7000억원 순이었다.

한편 국내증권사의 레포 매도잔액은 2015년 22조7000억원에서 41.0% 늘어난 32조원으로 크게 늘었다. 예탁결제원은 이에 대해 “정부의 ‘금융회사간 단기자금시장 개편방안’ 정책 효과가 크게 있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분석했다.

하루 평균잔액을 기준으로 한 통화 비중은 원화가 49조8000억원(95.9%)을 기록해 가장 많았다. 이어 달러화와 엔화가 각각 1조7000억원(3.3%), 4000억원(0.4%)의 비중을 차지했다.

담보증권의 비중은 국채 44.0%, 금융채 23.0%, 통안채 21.4%, 특수채 9.8%, 회사채 1.4% 순으로 나타났다.

거래 기간별로는 1∼4일이 1670건(92.5%)으로 가장 많았고 5∼7일이 59건(3.3%), 8∼15일이 13건(0.7%)이었다.

한편 기관간 레포시장은 단기자금거래 외에도 1년 이상 26건(1.4%), 만기를 정하지 않은 오픈 레포(Open Repo)방식 13건(0.7%) 등 장기자금거래도 약 2.1%를 차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