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경내까지 울려퍼진 '퇴진' 함성…박근혜 대통령 수시로 보고받아

2016-11-26 22:34
  • 글자크기 설정

박근혜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5차 촛불집회'가 26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일대에서 열린 가운데, 수많은 집회 참가자들이 대통령의 퇴진을 외치며 촛불을 밝히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아주경제 주진 기자 =청와대는 26일 서울 광화문을 비롯해 전국적으로 대규모 촛불집회가 또 다시 열리자 긴장된 분위기 속에 상황을 예의주시했다. 특히 이날 5차 주말 촛불집회 참가자가 190만명을 넘어서면서 역대 최대 규모였던 것으로 집계됐다. 

또 서울 도심에만 130만 명(주최측 추산. 경찰 추산은 26만명)이 운집했으며, 본 행사에 앞서 법원의 허용에 따라 청와대를 동·남·서쪽에서 포위하듯 에워싸는 형태로 사전 행진이 벌어졌다.

시위대는 세종로사거리에서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 삼청로 세움아트스페이스 앞, 신교동로터리 등 청와대 인근 3개 경로로 행진하며 박 대통령 퇴진을 촉구했다.

이 곳에서 시위대가 외친 구호와 함성 소리는 청와대 관저까지도 또렷이 들리는 거리이다. 시위대의 퇴진 구호가 청와대 경내에까지 울려 퍼진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은 이날 관저에서 TV로 집회 상황을 지켜보면서 참모들로부터 수시로 관련 보고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광옥 대통령비서실장과 수석비서관들도 전원 출근해 비상근무 체제를 이어가면서 수시로 대책회의를 열어 민심 수습 방안과 정국 대책을 논의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상황을 엄중하게 바라보면서 국민의 뜻을 다시 한 번 무겁게 받아들인다. 국민의 소리를 잘 듣고 겸허한 자세로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할 것"이라면서 "다음 주 정국을 어떻게 풀어가야 할지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말했다.

이번 주말 박 대통령과 참모들은 김현웅 법무부 장관과 최재경 청와대 민정수석의 사의 표명으로 흔들리는 사정라인을 안정시키고, 오는 28일 공개되는 국정 역사교과서 논란의 해법을 마련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역사교과서에 대해선 국정화 기조를 그대로 유지하겠다는 게 청와대의 입장이지만, 교육부가 사실상 국정화를 철회하는 내용의 대안을 검토하고 있어 충돌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청와대는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접촉해 교과서 문제의 해법을 조율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박 대통령이 탄핵안 발의를 앞두고 검찰 공소장과 탄핵안에 기재될 자신의 범죄혐의를 소명하고 탄핵의 부당성을 호소하는 내용의 대국민 메시지를 내놓는 방안에 대해서도 주말 동안 고심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3차 대국민담화의 자리를 마련하거나 이르면 내주 중 박 대통령이 직접 수석비서관 회의나 국무회의를 주재하면서 모두발언을 통해 간략히 입장을 밝히는 방안 등이 검토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