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불공정 거래, MASTER를 주의하세요"

2016-04-03 16:21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혜림 기자= 금융감독원은 3일 2013∼2015년 발생한 596건의 불공정 거래 사건을 전수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M·A·S·T·E·R 등 6개의 알파벳으로 정리한 핵심 불공정거래 조장요인을 발표했다.

△머니(Money·사채 등 외부 자금 활용)= 사채 자금은 시세조종과 인수·합병(M&A) 가장납입 사건에 단골로 등장한다. 최근 3년간 적발된 시세조종 사건의 22%(35건), M&A 가장납입 사건의 35%(24건)에 사채 자금이 동원됐다.

△어카운트(Account·계좌)= 시세조종, 미공개 정보 이용, 부정 거래 등 3대 불공정 거래 사건에서 차명계좌를 이용한 사례가 202건으로 절반을 차지했다. 시세조종 사건에서 작전 세력은 주가 조작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차명 계좌를 활용한다. 작전 세력에 단순히 계좌를 빌려주는 행위도 증권 범죄와 실명법 위반에 연루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SNS(사회관계망서비스)= 최근 3년간 인터넷 카페, 메신저 등을 이용해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투자를 권유한 불공정 거래 사례는 27건이었다. 개인들이 이런 정보를 받아 복사해 재전달해도 불공정 거래에 연루될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트레이드(Trade·무분별한 투자)= 인터넷에서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받고 주도 세력의 이상 매매에 가담해 주가 조작 사건에 연루된 사례도 있다. 주가 조작꾼이 주변 투자자에게 원금이나 고수익 보장을 앞세워 적극 매수를 추천하는 것을 무작정 따라 고가 매수에 나섰다간 범죄에 연루될 수 있다.
△에듀케이션(Education·교육 필요)= 작년 7월부터 시세조종 목적이 없는 이상 매매나 미공개 정보 이용 행위도 시장질서 교란 행위로 처벌될 수 있어 개인 투자자들은 관련 법규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리피트(Repeat·반복 위반)= 불공정 거래 위반 전력자의 재가담 비율은 평균 30% 수준으로 집계됐다. 특히 최근 3년간 무자본 M&A 관련 부정 거래 사건(20건)에서 두 건 중 한 건은 전력자가 가담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