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금융권에 따르면 현재 시중은행부터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까지 중금리대출 상품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시중은행들 중에서는 지난해 우리은행이 가장 먼저 중금리대출인 위비대출을 선보였고 이후 신한은행, 하나은행, NH농협은행 등이 잇따라 관련 상품을 출시했다.
20~30%대 고금리 장사를 하던 저축은행도 SBI저축은행이 최저 6.9%에서 최고 13.5% 사이의 중금리대출 상품인 사이다를 내놓았고, JT친애저축은행도 직장인을 위해 연 12~19.9% 금리로 대출해주는 원더풀 와우론을 출시했다. 하반기 문을 열 예정인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들도 중금리대출을 핵심 사업으로 꼽고 있다.
직장인 A씨(26)는 기존 대부업 3곳에서 대출을 받은 상황에서 한 시중은행 중금리대출을 신청해 700만원의 빚을 추가로 지게 됐다. B씨(33) 역시 지난해 말 한 시중은행에서 7%대 금리로 500만원을 대출을 받았지만 최근 다른 은행에서 그보다 높은 9%대 금리로 또 700만원을 빌렸다.
A씨는 "소득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카드값 등 생활비를 충당하지 못해 중금리대출을 신청했는데 승인을 받아 추가로 빚을 졌다"면서 "이자 부담은 예전보다 줄었지만 빚 규모는 이전보다 늘어난 상황이다"고 말했다.
대부업, 저축은행, 캐피탈 등 20%대가 넘는 고금리대출에 비해 상대적으로 금리는 낮지만 다중채무로 개인이 지는 부채 총량이 늘어날 경우 부실화될 가능성이 높다.
지난해 한국은행에 제출한 국감자료를 보면 지난해 6월 말 기준 다중채무자가 344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다중채무자의 1인당 평균 채무는 1억110만원으로 금융기관 1~2곳에 돈을 빌린 비다중채무자의 평균(5740만원)의 두 배에 수준이다. 이들은 주로 은행권에서 받은 대출이 연체돼 추가 대출이 쉬운 제2금융권의 고금리 빚으로 돌려막기를 하면서 부채의 악순환에 빠진 경우가 많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정책금융에 해당하지 않지만 신용등급이 낮아 은행권을 이용하지 못하는 사람을 위해 정부에서 중금리대출을 밀고 있지만 부채 총량에 대한 관리가 없다면 부실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금융당국 관계자는 "중금리대출의 경우 그동안 은행이나 저축은행 등이 하지 않았기 때문에 차주를 평가하는 것이 아직 완벽하지는 않다"면서 "앞으로 중금리대출이 부실 없이 자리잡기 위해서는 제대로된 신용평가를 통해 부실률을 낮추는 것이 관건이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