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토리 갈아먹고 고래 잡아먹고...1만년 전 선조들의 먹거리는?

2015-10-20 18:42
  • 글자크기 설정

국립중앙박물관 신석기 특별전, ‘신석기인,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신석기 특별전 '신석기인,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다'를 내년 1월31일까지 진행한다. 빙하기 이후 기후가 따뜻해지며 새로 등장한 동식물과 그에 따른 신석기인의 삶의 변화를 집중 조명하는 자리다. [사진=조가연 기자]


아주경제 조가연 기자 =얇고 넓은 돌판 위에 원통형의 돌을 얹었다. 강원도 양양 지경리에서 나온 갈돌과 갈판이다. 길고 네모난 갈돌 위에 도토리, 밤과 같은 열매를 놓고 갈돌로 밀어 껍질을 벗기는 방식으로 사용한다. 1만 년 전 한반도에 살았던 우리 선조가 먹었던 것으로 신석기 시대엔 도토리를 가장 많이 먹었다고 한다.

‘신석기인,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다’는 국립중앙박물관이 선보이는 신석기 특별전이다. 전시는 빙하기 이후 기후가 따뜻해지며 새로 등장한 동식물과 그에 따른 신석기인의 삶의 변화를 조명한다.
지구가 가장 추웠던 때는 지금으로부터 약 1만8000년 전이다. 이후 기온은 계속 상승해 약 1만 년 전에는 현재의 한반도와 비슷한 환경이 갖춰졌다. 남해안과 동해안에서 잡아먹을 어종이 풍부해졌고 넓은 갯벌이 만들어진 서해안은 다양한 조개들의 서식처가 됐다. 산에는 도토리와 밤이 열렸고 매머드와 털코뿔이가 사라진 들판은 사슴, 멧돼지, 고라니의 차지였다.
 

전시는 총 3부로 구성됐다. 1부에서는 따뜻해진 기후로 인해 변화된 동물상과 식물상을 다룬다. 2부에선 신석기인들이 변화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개량하고 개발한 다양한 도구들을 전시했다. 3부는 풍족해진 생활을 배경으로 신석기시대에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여러 무덤들의 모습을 다루고 있다. [사진=조가연 기자]


바로 이때부터 한반도의 신석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신석기 인류는 풍부해진 동식물 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도구 개발에 몰두했다. 돌을 갈아 물고기를 잡기 위한 작살, 그물 추, 빗창(조개 따는 도구) 등을 만들고 통나무를 반으로 자른 나무배도 등장한다.

이번 특별전에서 처음으로 공개되는 2005년 창녕 비봉리 출토 길이 310m 나무배도 이 시기의 유물이다. 수령 200년의 소나무를 단면 U자 모양으로 깎아 만든 것으로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출토된 가장 오래된 배다. 주로 강이나 얕은 바다를 이동하며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신석기 인류는 사슴처럼 작고 빨라진 동물들을 사냥하기 위해 활을 발명했다. 돌을 예리하게 갈아 납작하고 뾰족하게 만드는 것이 신석기 화살촉의 특징이지만 초창기에는 구석기 시대의 방식인 뗀석기 형태도 섞여 있다.
 

대표적인 사냥도구인 화살촉은 제작방법에 따라 뗀 화살촉과 간 돌화살촉으로 구분된다. 그 중에서도 간 돌화살촉은 동해안과 서해안에서 발견되지만 내륙지역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고 있다. 평면 형태와 장착 부분의 형태에 따라 여러 형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뗀 화살촉보다 긴 편이다. [사진=조가연 기자]


'신석기 혁명'이라 불리는 농경이 시작되면서 토기도 만들어졌다. 농경과 토기의 발전이 신석기를 규정하는 주된 특징이다.
조, 기장, 수수, 팥 등이 가장 많이 재배됐으며 부산 동삼동과 창녕 비봉리 유적 출토 토기에서 불에 탄 조와 기장이 발견됐다. 박진일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는 "토기에 찍힌 식물의 흔적은 흔적 복제 분석을 통해 밝혀냈다.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해 현대의 종자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알아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반도 최초의 토기로 알려진 2012년 제주 고산리 출토 토기는 풀과 흙을 섞어 만들었다. 적갈색에 특별한 무늬가 없는 고산리식 토기는 불에 굽는 과정에서 섞여 있던 풀이 타서 없어지고 그 흔적만 표면 안팎에 남았다.

이외에도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신석기 시대 집단 묘지인 부산 가덕도 장항 유적과 흙이나 돌을 이용해 만든 여인상과 동물 토우, 중국이나 일본 등 세계 각지의 신석기시대 토기도 이번 전시에서 관람할 수 있다.
 

신석기시대에는 구석기시대와 달리 대형 동물류가 사라지고 사슴, 멧돼지, 고라니, 노루 등 중소형 동물류가 주를 이룬다. 이 중에서 사슴과 멧돼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많고 대부분의 유적에서 출토되는 양상을 보인다. [사진=조가연 기자]


역사 공부를 시작하는 초등학교 3, 4학년생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신석기 만능인의 사계절(새로운 생활과 도구)'도 오는 28일부터 내달 27일까지 매주 수요일과 금요일에 진행된다.

김영나 국립중앙박물관장은 "지구의 기후변화로 인해 생활이 변하고 우리의 일상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 기후변화에 잘 적응한 신석기인들의 삶을 돌아보고 우리에게 주는 가르침이 무엇인지 생각해볼 기회가 되면 좋겠다"고 전했다. 

전시는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내년 1월31일까지다. 02-2077-9000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