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배상희 기자 = 중국의 '항일전쟁 승리와 세계 반(反)파시스트 전쟁 승리 70주년(전승절)' 기념행사를 계기로 한중 양국의 관계는 돈독해지는 반면, 북한은 더욱 고립될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그간 북한의 경제적·안보적 '생명줄' 역할을 해온 중국이 한국과 동맹관계를 강화하면서 북한에게 또 다른 압박이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박 대통령이 중국 전승절 기념 열병식에 참석하고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하는 동안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은 북한에 머물며 관전만 하고 있게 됐다"면서 "이는 남북한 동맹관계의 변화를 시사한다"고 3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는 한중 관계에 이같은 변화의 바람이 불게 된 이유 중 하나는 '경제'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중국은 한국의 최대 교역국이고, 한국은 중국에 있어 네 번째로 큰 교역 상대국이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한중 교역량은 중국과 북한 간 교역규모의 50배가 넘는다. 올해 초 양국은 자유무역협정(FTA)도 체결했다.
일각에서는 미국과 한국, 일본의 삼각 동맹을 약화시키기 위한 중국의 전략적 노력이 한중 양국의 관계 개선에 촉진제가 되고 있다는 견해도 나온다.
다만, WSJ는 "최근 중국 정부가 북한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표명하는 경우가 늘긴 했으나, 관건은 중국이 북한을 어느 정도 압박할 지에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북한의 붕괴를 가장 우려하고 있다는 점에는 의견을 같이한다. 북한이 붕괴되면 수만 명의 북한 난민이 중국 국경을 넘어 동북지역으로 몰려들면서 불안을 조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한중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문제가 논의될 것이며, 박 대통령은 중국이 북한에 거리를 두게 함으로써 북한의 역량을 약화시키는 전략을 구사할 것으로 예상했다.
로버트 켈리 부산대학교 교수는 "박 대통령은 북한을 중국에서 떼어놓기 위해 노력 중"이라며 "하룻밤 새 가능하지는 않겠지만 만약 중국과의 연결고리를 끊어버릴 수 있다면 북한은 더 이상 갈 데가 없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