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 최초의 대형 지하 목곽고, 고령 주산성에서 발견

2015-07-14 09:51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박현주 기자 = ‘고령 주산성’(사적 제61호)에서 백제의 축조기술을 적용한 가야 최초의 대형 지하 저장시설인 목곽고(木槨庫)가 발견됐다고 (재)대동문화재연구원(원장 조영현)이 14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고령군(군수 곽용환)에서 대가야 역사복원을 위해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고령 주산성 종합정비계획의 하나이다. 주산성은 6세기 전반에 축조된 대가야의 석축산성이며, 이번에 주산성의 내성(內城)에서 조사된 대형 목곽고는 6세기 중엽 경 백제의 축조기술과 도량형을 적용하여 축조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형 목곽고의 축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무른 암반을 가로×세로 8m, 깊이 3.5m 정도로 파고 바닥에 약 1.2m 높이로 점토를 채운 다음, 중앙부에 약 20cm 두께의 목판들을 바둑판무늬의 격자(格子) 모양으로 짜 맞춘 정사각형 평면의 목곽공간을 만들었는데, 규모는 가로×세로 5m, 높이 2m 정도이다. 이후 암반을 판 구덩이의 가장자리에는 석축을 쌓고 석축과 목곽 사이에 1m 이상 점토를 두텁게 채워서 방수와 동시에 온도나 습도의 변화를 최소화했다. 이와 같은 구조적 특징과 산성 정상에 조성된 특수시설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 목곽고는 음식재료를 가능한 한 오래 보관하기 위한 저온 식자재 저장시설이었을 가능성이 크다는게 문화재청의 설명이다.

이번에 주산성에서 발견된 목곽고와 유사한 구조는 공주 공산성, 대전 계족산성, 이천 설성산성, 금산 백령산성, 대전 월평동 유적 등 백제권역에서 많이 확인되고 있다. 또한, 축조 시 사용된 도량형도 동시대 백제에서 사용하던 중국의 남조척(南朝尺, 1척=25cm)을 적용했을 가능성이 높아, 당시 백제와 적극적인 문화교류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특히, 목곽고가 축조된 6세기 중엽 대가야의 정치적 상황은 백제와 연합하여 신라에 대치하다 관산성 전투(554년)에서 패배한 후 세력이 급격히 약화하는 시점이다. 학계에서는 이 시기 대가야는 친백제 세력에 의해 정국이 주도되었다고 보고 있으며, 대가야 중심부에 백제 묘제의 영향을 그대로 받은 고령 고아리 벽화고분(사적 제165호), 고아2동 고분, 절상천정총(折上天井塚, 고령군 지산리 소재) 등 새로운 형태의 무덤이 축조된다는 점을 근거로 삼고 있다. 

한편, 목곽고의 폐기과정은 대가야 멸망 이후의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최초 폐기층의 바닥에 소토(燒土, 불에 탄 흙)와 목탄의 흔적이 잘 남아있으며, 6세기 후엽 경의 신라 단각고배(短脚高杯, 짧은 굽다리 접시)편 등이 출토되었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목곽고는 신라가 대가야를 병합(562년)한 직후 다시 사용하지 못하도록 신라에 의해 의도적으로 불태워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번 발굴조사 결과는 그동안 주로 묘제에 한정되어 진행되던 대가야 역사 연구의 범위를 확장함과 동시에, 문헌자료의 부족으로 해결하기 어려웠던 대가야 말기의 역사, 즉 6세기 중엽 전후 대가야의 정치적 상황, 백제·신라와의 대외적 관계와 문화교류의 측면을 어느 정도 복원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