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쿠바, 반세기만에 국교 회복… 양국 대사관 재개설 합의

2015-07-01 11:24
  • 글자크기 설정

지난 4월 파나마시티에서 열린 미주기구 정상회의에서 만나 악수하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라울 카스트로 쿠바 국가평의회 의장[사진=신화통신]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 미국과 쿠바가 외교 관계 복원을 위한 대사관 재개설 협상을 타결지었다. 양국의 대사관 재개설은 54년 만으로, 냉전시대의 유산을 허무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평가되고 있다. 

AP통신은 익명을 요구한 백악관 고위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1일 오전 11시(한국시간 2일 자정)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미국과 쿠바의 대사관 재개설 협상의 타결 소식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AP는 또 "오바마 대통령이 존 케리 국무장관과 함께 3일 양국의 대사관 재개설 시점 등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이날 워싱턴포스트(WP)도 AP통신을 인용해 이 같은 내용을 전했다. 다른 정부 관계자도 AFP통신에 "미국과 쿠바가 양국의 수도에 각각 대사관을 개설하고 공식 외교 관계를 재수립한다는 데 합의했다"고 말했다. 

이란 핵협상 타결을 위해 오스트리아 빈에 머무르고 있는 존 케리 미 국무장관도 비슷한 시간에 대사관 재개설을 발표하고 오는 3일에 구체적인 날짜를 공개할 예정이다. 양국의 대사관 재개설은 이르면 7월 중에 있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미국과 쿠바가 양국 수도에 대사관을 개설한다는 계획에 따라 역사적인 국교정상화 협상을 사실상 마무리 짓는 수순에 들어간다. 양국이 외교관계를 단절한 1961년 이후 54년 만이자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라울 카스트로 쿠바 국가평의회 의장이 지난해 12월 17일 전격으로 국교 정상화 추진을 선언한 지 6개월여 만이다.

미국은 그동안 쿠바에 대한 여행자유화 조치를 확대하고 쿠바를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삭제하는 등 여러 세부 조치들을 취해 왔다. 이번 대사관 개설은 그런 외교관계 복원 노력의 정점으로 해석된다. 쿠바 인권 문제와 더불어 금수조치(수입·수출을 금지하는 조치) 완전 해제에 대한 미 의회의 승인 등 남은 현안 및 절차가 있긴 하지만, 대사관 개설 등 국교 정상화에는 큰 영향이 없을 전망이다.

양국의 국교정상화는 두 나라 간의 외교관계 복원이라는 1차적 의미를 넘어서, 냉전시대 유물 청산, 미국의 대외정책 변화 등 정치·외교적으로 큰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미국과 쿠바는 지난 50년 넘게 적대관계를 유지해 왔다. 1959년 피델 카스트로가 혁명을 통해 공산화를 전격적으로 선언한 뒤 쿠바 내 미국 기업의 재산을 몰수하고 국영화하자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당시 미 대통령은 1961년 외교관계 단절을 선언하고 이듬해부터는 곧바로 금수조치에 들어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