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원장 김극수)은 1일 발표한 ‘중국의 15개 소비 트렌드를 주목하라’ 보고서를 통해 중국 소매시장 규모가 2014년에 미국의 81%, 한국의 10배 수준으로 급증하했며, 중국 자체브랜드 부상, 온‧오프융합(O2O)서비스, 개인맞춤형 제품, 경험소비, 새로운 소비족 대두 등의 15개 소비 트렌드가 자리잡아 가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의 소득․소비 구조는 지역간 격차 축소, 중산층․고령화 확대, 전자상거래 약진, 정보격차 축소, 소비계절성 약화 등 5개의 추세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지역간 소득‧소비 격차는 지난 2006년까지 확대되었으나 2007년 이후 지속적으로 축소되고 있으며, 1~4선 도시간 격차도 축소되었는데 특히 3선도시의 소득이 가장 크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중국의 소비는 소비욕구 증대, 구매채널 다양화, 소비자간 네트웍 확대 등이 반영된 15개 트렌드가 각광받고 있다. 우선 개성‧합리적 가격을 내세운 중국 자체 브랜드의 빠른 성장세가 나타나는 가운데 G2(80년대 출생 바링허우, 1990년대 출생 지우링허우) 소비세대 부상, 사치품의 해외구매 증가, 온․오프(O2O)마케팅 활성화, 남성․지방도시의 온라인구매 증가가 두드러지고 있다. 또한 뷰티․유아․식품의 해외직구 증가, 삶의 균형추구, 개인 맞춤형 제품인기, 소비자 권익보호도 주요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한편 중국 소비자의 해외직구중 한국의 경쟁력이 높은 유아용품(분유, 기저귀), 뷰티(화장품), 식품분야의 구매비중이 높아 중국 쇼핑객(하이타오족)을 겨냥한 맞춤형 제품 출시와 함께 중국 소비자가 불편을 느끼는 배송, 중국어지원, 환불제도, 제품 신뢰성 분야의 만족도 제고에도 힘써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장상식 무협 연구위원은 “중국 소매시장을 놓고 중국제품과 외국제품간의 치열한 경합이 본격화되고 있어 중국시장 진출 골든타임이 얼마 남지 않았다”면서 “한·중 FTA 체결을 계기로 관세인하 품목의 단순 수출보다는 제품 고급화, 공급망 재구성, 파트너쉽 구축, 현지진출 강화 등의 중국진출 선순환 구조를 마련하기 위해 정부와 업계가 힘을 모을 때”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