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물 전문 공기업인 K-water(한국수자원공사)는 국가 통합물관리 정책 수립 지원 및 실행을 추진하기 위해 자체 마스터플랜 수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선진국의 약 60%가 도입하고 있는 통합물관리는 생태·사회 현안을 포함해 효율적인 수량ㆍ수질 및 자원관리를 지향한다.
K-water는 28일에는 바람직하고 효율적인 물 관리 방안과 실행방안, 각계 협력 증진방안 등을 찾기 위한 ‘통합물관리대토론회’를 개최한다. 국내외의 공공기관·학계·시민단체 및 물 전문가 등 약 200명이 참석해 통합물관리에 대한 주제발표 및 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국내 물 관리 시스템, 환경변화 대응 취약
하지만 현재 국내 물 관리 시스템은 다원화된 체계와 물 분쟁, 수질 악화 등의 발전 저해요인을 갖고 있어 기존 댐이나 저수지 및 시설별 운영시스템만으로는 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우선 물 관리 체계의 경우 다목적댐 및 용수전용댐은 K-water(국토교통부 산하)가 담당하지만 발전전용댐은 한국수력원자력(산업통상부 산하), 농업용 댐은 농어촌공사(농림축산식품부 산하)가 관리해 부처·기관간 긴밀한 협조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유역 물 관리에서도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섬진강의 사례를 보면 광양만, 수어천 염분피해 등 생태와 수질에 대한 민원이 발생하는 상황이다. 섬진강·동복·보성강댐 등의 용수 배분 갈등도 있으며 댐 홍수능력 저하에 따른 지자체 홍수피해 증가도 골칫거리다. 여수·광양 지역은 공업용수 부족 문제를 떠안고 있다.
수질 악화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사항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하천 녹조 등의 원인인 비점오염원 부하량은 1998년 27%에서 2020년 72%로 2.7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역 전체에서 비가 올 때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은 예측 및 관리가 어렵다는 애로사항이 있다.
◆통합물관리 범세계적 추세, 마스터플랜 수립
K-water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통합물관리는 생태계를 손상시키지 않고 공평한 방법으로 물과 토지, 관련자원을 개발, 관리해 경제·사회복지를 극대화하는 것이다.
물 관리 효율성 확보를 위해 관련 부처, 공공기관, 연구기관 간 정보 공유와 댐·저수지·하천시설의 유기 시스템 연계, 이해당사자 모두가 참여하는 의사결정체계 마련이 추진될 예정이다.
통합물관리는 해외의 경우 이미 1990년대 초 기후변화 등 물위기 극복을 위한 새로운 물 관리 패러다임으로 정착했으며 2000년대 이후에는 국가차원의 과제인 '물 안보' 개념으로 확대됐다.
유럽연합(EU)은 1950년대부터 국가별 물 기본법 제정 등 기반을 마련했다. 2000년 EU 물기본지침을 제정하고 회원국 공동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호주는 연방정부와 지자체가 함께하는 유역 정책 프로그램 통합 및 유역청을 설치했으며, 미국은 주별로 유역단위 통합물관리 로드맵을 수립했다.
K-water는 통합물관리의 기능 완성과 자료 및 기술 확보, 제도 및 거버넌스 확립, 시설 및 국민 물복지 실현을 키워드로 제시하고 국가 통합물관리 정책의 효율적인 수립 지원 및 실행에 나서기로 했다. 통합물관리 실행을 위한 대내외 공론화를 통해 오는 8월에는 마스터플랜을 수립, 공포할 예정이다.
최계운 K-water 사장은 “안전한 물 관리 서비스 제공, 건강한 물 공급, 수변 활용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다”며 “이해 당사자간 공평성 유지, 관련 자원의 균형있는 개발 등을 통해 국민 물 복지 향상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