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진오·신희강 기자=새 정부 출범과 함께 대규모 인사가 이뤄지는 물갈이의 계절이 다가오면서 기업들이 사외이사 지망생들의 줄대기로 몸살을 앓을 전망이다. 또 금융권 등 일각에서는 정부 주요 부처 공직자를 타깃으로 사외이사 모셔가기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3일 정부부처에 따르면 퇴임을 앞둔 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은 공직에서 물러난 뒤 은행권 사외이사로 가는 것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른 한편에서는 홍 장관의 인적 네트워크와 중량감을 고려할 때 KB, 신한, 우리, 하나 등 4대 금융지주사 가운데 한 곳으로 갈 개연성이 크다는 관측까지 내놓고 있다. 4대 금융지주사에 재직 중인 사외이사 34명 중 28명이 오는 3월 정기 주주총회를 끝으로 임기가 만료되면서 새 의자를 차지할 인사에 벌써부터 관심이 모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지경부 내부에서는 공직생활에서 '유종의 미'를 강조해 온 홍 장관의 향후 거취를 놓고 아직 임기를 두 달이나 남긴 상황에서 논한다는 자체가 무리가 있다는 반응이다. 홍 장관은 "퇴임 전까지 '동계 전력수급, 원전 재가동, 유통상생협의법' 이라는 세 가지 사안에만 전력투구 할 것"이라고 공언해왔다.
지경부 고위 관계자는 "홍 장관은 대학의 석좌교수에 가장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안다. 중기청·지경부 등 30여년 공직생활의 노하우를 후배들에게 가르쳐주고 싶다는 뜻을 여러 번 내비쳤다"며 "다만, 그 이후 기회가 닿으면 비상근 이사직을 고려할 수 있고, 비계통으로 옮겨갈 수 있기 때문에 금융권 사외이사 얘기가 풍문으로 도는 게 아닌가 싶다"고 전했다.
실제로 전직 고위 공무원들의 기업 사외이사행은 어제오늘 일이 아닌데다 최근에는 출신성분도 다양해졌다. 주로 법조계나 국세청, 금융감독원 등 권력기관 출신이 활발하게 진출하던 행태에서 벗어나 각 부처 관가 인사들이 폭넓게 사외이사의 문을 두드리고 있다.
대기업의 경우 감사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로 채워지는데 이들의 상당수가 정부 고위직 출신이다. 여전히 전관예우 관행이 뿌리 깊은 공직사회의 풍토를 반영한 것으로 회사 비리가 불거졌을 때 바람막이를 해줄 수 있다고 기대하기 때문이다. 이런 '공생관계'로 인해 사외이사 대부분이 본연의 역할을 포기한 채 '거수기'로 전락했다는 지적도 잇따른다.
특히 은행, 보험 등 금융권 사외이사는 전직 고위관료들이 독차지하고 있으며, 보수가 많고 연임이 비교적 수월한데다 안정적이라는 점에서 가장 선호하는 자리 중 하나다. MB정부에서 4대 금융지주를 포함한 7대 시중은행의 정부 고위 관료 출신 사외이사 비중이 크게 높아진 것도 이 같은 배경이다.
최근 CEO스코어가 금융권 사외이사의 출신 현황을 조사한 결과 전체 사외이사 중 관료 출신은 25명으로 이명박 정부의 출범 초기인 2008년 30%에서 올 상반기 32%로 비중이 상승했다.
SC은행은 사외이사 6명 중 4명(67%)이 관료 출신였으며, 우리금융도 사외이사 14명 중 6명(43%)을 관료가 차지했다. 이어 KB금융(29%), 하나금융(27%), 신한금융(25%) 등 시중은행 가운데 씨티은행만 제외하고 관료 출신 사외이사가 있었다.
경제개혁연대 관계자는 "대주주를 견제하고 투자자의 권익을 보호하려면 사외이사의 '독립성'과 '전문성'이 보장돼야 한다"며 "특히 은행 등 공공성이 있는 기업이나 기간산업 등의 사외이사는 공익을 대변하는 인물이 참여해야 바람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