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한국지엠 노조 관계자는 사측에 유급전임자 14명의 명단을 통보했다고 밝혔다. 또한 조합비를 통해 무급전임자 및 기타 노조 활동비용을 충당하기로 결정했다고 덧붙였다.
그간 한국지엠 노조는 사측의 유급전임자 명단 제출 요청을 지속적으로 거부해왔다. 유급전임자 대상이 정해짐에 따라 한국지엠의 타임오프제 도입은 노동부의 최종 실사만을 남기고 있다.
무급전임자 급여는 지난해 타임오프제를 도입한 기아차와 같은 형태로 조달된다. 지난해 기아차는 기존 234명의 전임자를 유급전임자 21명, 무급전임자 70명 등 91명으로 축소했다.
법정 노조전임자 기준인 21명은 기아차에서 급여를 지원하고 무급전임자 70명은 노동조합비를 통해 급여를 해결했다. 기아차 노조는 이를 충당하기 위해 1만4200원씩 1인당 조합비를 추가했다.
한국지엠 역시 조합비로 무급전임자 급여를 충당한다. 올해 한국지엠은 역대 최고 수준의 임단협 결과를 도출한 바 있다. 한국지엠은 올해 기본급 6만7000원 인상을 비롯해 격려금 및 성과급 총 700만원, 직급체계 개선 및 수당 신설 등을 합의했다.
사상 최고 수준의 성과급은 물론 기본급 인상과 직급체계 조정 등을 모두 고려할 경우 사실상 8~9만원대 인금인상 효과를 이뤄냈다. 이에 따라 한국지엠 내외부에서는 조합비 인상이 필연적이라는 전망이다.
한편, 완성차업계에서 타임오프제가 도입되지 않은 곳은 현대차만 남은 상태다.
쌍용차는 지난해 5월 가장 먼저 타임오프제를 합의하고 기존 39명의 전임자를 7명으로 줄였다. 기아차도 지난해 전임자 수를 절반이상 줄이며 극적 협의를 이뤘다. 노조가 없는 르노삼성을 제외하고, 올해 한국지엠이 최종 합의함에 따라 완성차업계에서는 현대차만 남은 것.
현대차는 지난 4월부터 타임오프제 도입에 나섰지만, 노조는 이 같은 사측의 움직임을 ‘노조 무력화 행위’라 부르며 반발했다. 노조는 유급전임자 대상 24명을 정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맞섰다.
이에 현대차는 법과 원칙을 반드시 지키겠다며 기존 전임자 233명에 대해 무급휴직발령을 내는 등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현대차 임단협은 타임오프제 뿐만 아니라 정년연장, 장기근속직원 자녀 취업가산점 등이 복합적으로 얽혀있다”며 “쉽게 해결되기 어려워 보인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