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정무수석은 참여정부 시절인 지난 2004년 시민사회수석에 흡수·통합됐으나 현 정부 출범과 함께 부활했다. 이는 초대 한승수 국무총리와 류우익 대통령실장이 정치인 출신이 아니란 점에서 “청와대에 여당 내 사정은 물론, 정치권의 역학관계 및 생리를 잘 아는 인사가 필요하다”는 인식에 따른 것이었다.
아울러 당내 친박(친 박근혜)계와의 관계개선도 정무수석실의 주요 ‘미션’ 가운데 하나였던 만큼 이명박 대통령은 참모진 인선 때마다 정무수석에 가장 심혈을 기울였다고 한다. 현 정부 청와대의 전·현직 정무수석 5명 모두가 여당 국회의원 출신들로 채워진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초대 박 수석은 대선 전까지만 해도 ‘MB맨’이 아니었으나 대통령직인수위에서 정부조직 개편을 주도하면서 신임을 얻었다. 그러나 ‘강부자(강남 부자)’ 등 인사논란과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따른 ‘촛불시위’가 잇따르면서 청와대는 공식 업무를 시작한지 불과 두 달 만에 정무라인에 대한 보완 필요성이 제기됐고, 결국 2008년 6월 청와대 개편에서 박 수석은 ‘특기’를 살려 국정기획수석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듬해 8월 임태희 대통령실장 체제 출범과 함께 3대 정무수석은 박형준 현 대통령 사회특별보좌관이 맡았다. 대선 때부터 이 대통령의 ‘정치적 브레인’ 역할을 해온 박 특보는 ‘세종시 수정안’ 논란과 ‘천안함 사태’ 등을 수습하는데 애썼다.
4대 정진석 수석은 작년 7월 임명돼 친박계와의 관계 개선에 주력, 이 대통령과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와의 회동을 성사시켰다. 또 미래희망연대 서청원 전 대표의 특사 성사 과정에도 깊이 관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 전 수석은 최근 야당 등으로부터 저축은행 비리 연루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내년 총선 출마 준비를 위해 지난 9일 자리에서 물러났다.
김효재 현 수석은 이 대통령의 대선캠프에서 활동하다 18대 총선에서 '뱃지'를 단 초선 의원 출신이다. 전임들에 비해 정치적 무게감은 떨어지지만, 30년 가까이 언론인 생활을 한 경력 등을 바탕으로 이 대통령이 현 정부 ‘마지막’ 정무수석을 맡겼다.
정무수석은 대통령실장과 함께 당·정·청 간 9인 회동에 참석하며, 수시로 총리 및 여당 원내대표와 정책 및 정무 전반에 관한 현안을 협의한다. 때문에 일각에선 청와대 내 정무기능을 총괄하는 대통령실장과 역할이 겹친다는 지적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