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 위축과 가격 약세는 5차 보금자리주택지구가 발표(17일)되고 나서 더 심화되고 있다. 반면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오르면서 집을 팔고 싶어도 팔지 못하는 하우스푸어(House poor)만 더 늘어나고 있다. 시장에서는 정부 대책이 오히려 ‘독’이 되고 있다는 볼멘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29일 서울 부동산정보광장과 부동산정보업체 등에 따르면 서울지역 주택 거래량(계약일 기준)은 이달 들어(1~29일) 1378건으로 4월(5329건) 대비 25% 수준에 머물고 있다. 지난해 5월 거래량(4699건)과 비교해도 70% 넘게 감소한 것이다.
집값 하락도 계속되고 있다. 5월 들어 주택 매매가 변동률은 서울 0.10%, 신도시 0.05%, 수도권 0.04% 떨어져 시장침체가 심각한 수준임을 말해주고 있다. 반면 전셋값은 계속 올라 5월 전국 변동률은 0.09%에 이르고 있다.
DTI(총부채상환비율) 규제 부활 등을 담은 ‘3·22대책’으로 얼어붙은 시장을 녹이기 위한 방안으로 '5·1 대책'이 나왔지만, 역시 시장만 더욱 냉각시키고 있다.
5·1대책의 약효가 나오기도 전에 5차 보금자리 발표가 시장 분위기를 더욱 얼버붙게 한 것이다. 건설사 한 관계자는 “정부는 부동산 거래를 활성화 한다고 말을 하지만 내놓는 대책을 보면 반대로 가는 것 같다”며 “살아날 듯 하던 민간 분양시장도 당분간 다시 긴 겨울잠에 들어갈 수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취득세 인하와 분양가 상한제 폐지(3·22대책), 양도소득세 비과세 요건 중 2년거주 요건 폐지(5·1대책) 등도 실행에 들어가지 못하면서 정부정책에 대한 불신은 더욱 커지고 있다.
닥터아파트 이영진 연구소장은 “5·1대책으로는 그 동안 쌓인 정부정책에 대한 불신을 해소하기 힘든 상황“이라며 ”실물경기 회복이나 시장회복에 대한 시그널(신호)이 부족한 상황이라 대책에 따른 효과가 나타나기는 당분간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