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미량의 방사성 물질에 노출될 경우 지금 당장은 별 이상이 나타나지 않아도 수십년 후나 다음 세대에서 유전적인 영향이나 암 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정부는 현재까지 국내에서 검출된 방사성 물질은 엑스레이 1회 촬영 때 인체에 노출되는 방사선량의 수천분의 1에 불과하다며 국민 건강안전에는 별 문제가 없다고 강조하지만 이는 방사선의 폐해를 너무 경솔하게 취급하는 것이라는 지적이다.
하미나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18일 “방사선에 따른 암과 유전적인 영향은 어느 정도 이상의 방사선에 노출됐을 때에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고 노출된 양과 비례해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이라며 “노출된 방사선이 극미량이라도 암이나 유전적 영향의 발생 가능성이 낮아질 뿐이지 제로(0%)가 되는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하 교수는 이어 “극미량의 방사선에 노출되면 지금 당장 폐해가 나타나지 않지만 수십년 후나 다음 세대에서 나타날 수도 있다”며 “1mSv는 그 이하에선 의학적으로 아무 문제가 없어서 그렇게 정한 것이 아니고 현실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최소한의 수준으로 잡은 것이며, 이것은 안전과 불안전의 경계가 아니라 사회적인 합의 수준”이라고 말했다.
현재 국제적으로 적용되는 일반인의 연간피폭선량 한도는 1mSv이다. 이는 일반인이 1년 동안 자연적으로 노출되는 방사선량인데 현재 국내에서 검출되는 방사성 물질의 연간피폭선량은 1mSv보다 훨씬 적어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이에 대해서도 하 교수는 “1mSv는 1만분의 1에서 100만분의 1사이의 암과 유전적 영향 발생 확률을 갖는 수준”이라며 “우리나라 인구가 4800만명이니 만큼, 결과적으로 암이나 유전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국민은 최소 48명에서 최대 4800명에 이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창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과 교수도 “현재 검출되는 방사성 물질은 극히 적지만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미량이라도 10~20년 후에 암 발생률을 올릴 수 있는 가능성이 있고 후대에 기형아를 출산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익명을 요구한 한 대학교 화학과 교수는 “알파선, 감마선, 베타선, 엑스선 같은 에너지가 큰 방사선을 쏘이면 분자 안에 있는 원자와 원자 사이의 결합이 끊어질 수 있다”며 “이러면 염색체 손상도 일어날 수 있고 유전자 변이로 돌연변이도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도 이런 가능성에 대해 오래 전부터 예의주시하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1990년대 초부터 원자력발전소 인근 주민들에 대한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한 전문가는 "정부가 20여년간 원전 주변 주민들에 대해 역학조사를 하는 것은 인체에 노출된 방사성 물질이 아무리 적은 양이라도 영구적으로 안전하다고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